러시아-중국: 공통의 전략적 토대를 찾고, '긴밀하게' 행동하며 위험을 두려워하지 않고, 함께 미국의 질서에 도전한다. (출처: 로이터) |
2022년 2월 4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과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동맹을 넘어서는" "무제한" 파트너십을 발표했습니다.
러시아는 동쪽으로 선회한다
이후 발표된 공동 성명에서는 양국 관계가 어떤 냉전 동맹보다 지속적이며, 파트너들이 현재 미국이 주도하는 자유주의 국제 질서를 전복하려는 의도가 분명히 밝혀졌습니다.
20일 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동부 국경에서 특별 군사 작전을 개시했습니다. 그 이후 중국은 러시아에 대한 여러 투자 프로젝트를 중단하거나 연기했습니다. 그러나 1년이 넘은 후 중국에서는 일부 투자 활동이 재개되었습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특별 군사 작전을 개시한 이후, 러시아의 에너지 파트너로서 중국의 중요성이 크게 커졌습니다. 러시아가 서방의 제재에 직면하고 서방의 석유회사들이 문을 닫으면서, 크렘린은 '동쪽으로의 선회' 정책을 확대했습니다.
이전에 러시아는 유럽 석유 시장에 깊이 관여했습니다. 러시아는 갈등 이전 기간에 연간 1,550억 입방미터의 가스를 유럽에 수출했습니다. 서부 러시아에서 시작되는 노르트 스트림 해저 가스 파이프라인은 독일로 가스를 공급한 뒤, 독일에서 유럽 전역으로 분배됩니다.
이 파이프라인은 우크라이나를 우회했습니다. 이는 나머지 유럽 국가들에게 이익이 되지만, 우크라이나에서는 연간 20억 달러에 달하는 통과료라는 막대한 수입 손실을 초래합니다.
군사적 갈등이 시작된 이래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유럽의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이들 파이프라인에 대한 공급을 차단했습니다. 유럽 시장에 대한 접근성 상실은 베이징이 러시아, 특히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중국 수도가 새로운 목적지를 가지다
연구자 프리트비 굽타의 Orfonline.org 분석에 따르면 중국과 러시아는 오래되고 다면적이며 복잡한 관계를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두 나라는 더욱 가까워져 전략적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 질서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 발발 이후 러시아에 대한 중국의 투자를 강조하면서, 연구원 프리트비 굽타는 중국이 러시아 극동 지역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이는 지정학적, 지경제적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습니다.
러시아 극동의 하바롭스크 지방은 오랫동안 베이징의 관심을 끌어왔습니다. 이 지방은 탐사되지 않은 에너지와 광물 매장의 보고이며 중국의 육상 에너지 공급 경로입니다. 중국은 19세기 이래로 이 지역과 역사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습니다.
역사를 살펴보면 러시아는 극동과의 관계에서 중국이 그 지역의 핵심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늘 막아왔습니다.
2014년 러시아가 북극 개발 계획을 시작했을 때, 모스크바는 중국의 참여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고, 심지어 이 지역 개발에 대한 중국의 필요성을 우선순위에 두지도 않았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양국의 역학관계는 바뀌었습니다. 북반구 전체가 러시아를 외면하자 모스크바는 파트너인 중국에 관심을 돌렸습니다. 러시아는 또한 아무르, 시베리아, 러시아 북부 지역에서 중국이 자금을 지원하는 에너지 개발 및 탐사 프로젝트를 위한 길을 닦고 있습니다. 중국으로 가스를 수출하는 '시베리아의 힘' 파이프라인이 그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갈등이 시작된 이후 중국은 파이프라인에 두 개의 지선인 시베리아의 힘 2호와 3호를 더 추가하기로 합의했으며, 이를 통해 매년 280억 입방미터와 340억 입방미터의 가스를 중국으로 수송할 예정이며, 2025년과 2029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갈등 이후 중국의 러시아 투자는 에너지 분야에만 집중된 것이 아니라 광산과 인프라 개발에도 포함되었습니다.
2023년 5월, 러시아의 유리 트루트네프 부총리는 극동 지역으로의 외국인 직접 투자(FDI)(약 26개 인프라 프로젝트, 총 16억 달러 규모)의 90% 이상이 중국 국유기업에서 자금이 조달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위의 사실은 중국의 이 지역에 대한 투자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50% 증가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중국은 또한 이 지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으로, 2022년 1월~8월에 전년 대비 45%의 역대 최대 증가(143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극동은 러시아가 중국 투자를 유치하는 데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
두 나라 모두 서방 에너지 공급망과의 분리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시베리아의 힘’ 파이프라인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2021년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에 이어 3위에서 2023년까지 중국의 최대 에너지 공급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도 러시아 원유를 엄청 할인된 가격에 구매하고 있다. 러시아 원유의 평균 가격은 배럴당 73.53달러로, 배럴당 평균 국제 원유 가격 85.23달러보다 13.7% 낮았습니다. 2022년 러시아의 석유 수입액은 837억 달러에 이르는데, 베이징은 이를 통해 약 110억 달러를 절약할 수 있었습니다.
더욱이 두 나라는 이 거래에서 서방의 제재로부터 지불을 보호하기 위해 양자 통화 스와프 메커니즘을 활용했습니다.
중국의 하얼빈 은행, 중국건설은행, 중국농업은행은 SWIFT나 달러 중심의 국제 금융 시스템과 거의 관련이 없습니다.
중국 기업들은 러시아 극동에 대한 에너지 공급을 확보하는 것 외에도 2022년 2월 이후 1,000개의 서방 다국적 기업이 철수하면서 생긴 공백을 메우려고도 하고 있습니다. 체리(Chery), 그레이트월(Greatwall), 지리(Geely) 등 11개 중국 자동차 회사가 러시아 시장의 4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2021년 6%에서 증가한 수치입니다. 중국의 가전제품 수출도 전년 대비 40% 증가했습니다.
가장 빠른 시장 장악은 스마트폰 부문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샤오미와 리얼미 등 중국 기업이 2022년까지 시장의 70%를 점유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그 반대의 추세도 있습니다. 서방의 제재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Huawei와 DJI 등 주요 중국 기술 기업들이 러시아를 떠나게 되었고, 이는 모스크바의 기분을 나쁘게 했습니다. 중국공상은행(ICBC)과 중국개발은행(China Development Bank) 같은 중국 국유은행들조차 영업 축소에 주저하고 있다.
에너지, 인프라, 운송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러시아에 대한 중국의 투자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중국 자본 유입은 러시아가 서방의 일련의 제한적 제재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경제 성장에 절실히 필요한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에 대한 이러한 의존에는 고유한 어려움과 위험이 따릅니다. 중국 투자는 즉각적인 이익을 가져다주지만, 경제의 핵심 분야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예를 들어 러시아는 의존성이 생기지 않도록 에너지 수출을 다각화해야 할 가능성이 큽니다.
[광고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