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문들은 SK그룹(재벌 3위이자 마산의 주요 파트너)이 베트남에서 자본을 조기에 철수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사업을 하기를 원한다고 보도했습니다.
머니투데이 에 따르면 SK그룹 관계자는 베트남 정부 및 국내 주요 기업과 장기적인 사업 협력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최근 베트남에서 자본을 철수한다는 소문에도 불구하고 이 그룹은 여전히 베트남을 "동남아시아의 사업 기반"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SK그룹은 2018년부터 Vingroup(VIC), Masan(MSN) 등 베트남의 대표적 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Pharmacity, Imexpharm, PV Oil, Cuu Long JOC, Maroon Bells 등의 사업체를 통해 유통, 소비재, 부동산 개발,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 약 25억 달러를 투자했습니다. 이 가운데 SK그룹은 Masan의 주요 사업 부문에 12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이는 베트남에 대한 가장 큰 투자입니다.
SK그룹 고위 관계자는 베트남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포트폴리오에 약간의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앞으로 그룹은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SK그룹 측은 마산에 대해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이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협력을 계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올해도 베트남 시장은 세계 경제 침체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었고, 주요 기업의 주가도 변동이 심했습니다. 투자자들은 SK그룹이 마산의 모든 지분을 매각하는 것을 시작으로 베트남에서 철수할 수도 있다는 추측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정보는 최근 MSN 주가가 급락하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 결과, 이사회 회장인 응우옌 당 광(Nguyen Dang Quang)도 억만장자 명단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지난 두 거래 세션에서 마산의 주가 코드는 세션당 200동씩 약간 상승하여 주당 58,200동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이 수준은 여전히 지난 2년간 가장 낮은 가격대에 속합니다.
10월 30일 오후 투자자 미팅에서 마산 이사회도 SK그룹이 장기적인 파트너임을 확인했습니다. MSN은 가까운 미래에 양측 주주들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이 한국 투자자와 더 많은 협력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회사는 구체적인 정보를 발표하지 않았지만 한국 투자자가 사업 개발을 지원하고, 재무 건전성을 개선하며, '현금 우선' 방향에 동의할 것이라고만 밝혔습니다.
최근 SK그룹 최태원 회장은 베트남 지도자들과 만나 친환경 솔루션 외에도 디지털, ESG(환경, 사회, 기업 지배구조) 등 장기 협력 프로젝트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최 장관은 회의에서 베트남이 오랫동안 그래왔듯이 앞으로도 전략적 파트너임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한국 기업은 또한 베트남 스타트업을 진흥하기 위해 국가 혁신 센터(NIC)에 3,000만 달러를 투자했습니다.
이에 머니투데이 소식통은 SK그룹이 투자 철회를 서두르기보다는 그린사업 등 새로운 분야에 집중하기 위해 기존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시다르타
[광고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