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4일 오후, 10~13세 어린이와 교사를 포함한 한국에 있는 해외 베트남인 대표단이 하노이에 도착하여 하노이, 닌빈, 광닌에서 5일간 진행되는 "2024년 한국에 있는 해외 베트남인 어린이와 교사의 베트남 방문"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베트남에서의 첫 이틀 동안, 한국 교사와 어린이들로 구성된 대표단은 수도의 유명 명소를 방문했습니다. 대표단의 첫 방문지는 서호 중앙에 위치한 1,500년 이상 된 쩐꾸옥 사원이었습니다. 이곳에서 대표단은 오랜 역사에 압도당했고, 유명 여행 웹사이트인 Wanderlust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원 10곳"에 꼽은 이곳의 독특한 아름다움에 감탄했습니다.
다음 날(8월 5일), 대표단은 바딘 광장에 일찍 도착하여 호치민 주석 묘와 대통령궁 유적지를 방문했습니다. 오랫동안 집을 떠나 있었지만, 이제 귀국하여 호 주석을 만날 기회를 얻게 된 대표단 구성원들은 모두 호 주석의 유물과 문서를 보고, 그의 위대한 업적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감동을 받았습니다. 특히, 해외 베트남 어린이들은 처음으로 호 삼촌의 탑 하우스를 방문하고 물고기에게 먹이를 주고 호 삼촌의 어린이에 대한 사랑에 대해 듣고 매우 기뻐했습니다.
“ 호치민 대통령은 재능이 있고 강한 사람이었습니다. 저는 호치민 삼촌을 정말 좋아하고, 선생님께서 종종 "아이들보다 호치민 삼촌을 더 사랑하는 사람은 누구일까"라는 노래를 가르쳐 주십니다. 해외에 있는 베트남 어린이가 베트남어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들은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부모로부터 베트남어를 배웠고 모국어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가장 감동적인 순간은 아이들이 함께 "마치 호 삼촌이 위대한 승전의 날에 여기 계셨던 것처럼"이라는 노래를 부르고, 베트남어로 "베트남 독립 민주 공화국"이라는 구호를 큰 소리로 읽었을 때였습니다.
대표단은 대통령궁을 떠나 문묘, 즉 황실학원에 들렀습니다. 베트남 최초의 대학에 대해 처음 방문하고 이야기를 들은 해외 베트남 어린이들은 고국의 제국 과거 시험 전통에 놀라움과 존경을 금치 못했습니다. 해외 베트남 출신 어린이인 레짱은 투어 가이드와 선생님의 통역 덕분에 이곳이 베트남 왕의 자녀들이 공부하던 곳이라는 사실과 과거 베트남의 교육도 매우 발전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기쁘게 말했습니다.
하노이에서 2일간의 일정을 마친 대표단은 해외베트남 국가위원회 지도자와 베트남 한국문화원을 방문했습니다. 이곳에서는 해외 거주 베트남 어린이들이 장인들이 원뿔 모자를 만드는 방법을 보여주는 모습을 지켜보고, 자신도 원뿔 모자를 짜고 땋는 작업에 매료됩니다.
해외 베트남 어린이들의 애국심 키우기
"2024년 한국에 있는 해외 베트남 어린이와 교사들이 베트남을 방문합니다"는 한국에 있는 해외 베트남 어린이들이 고국으로 돌아와 국가의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이 고국을 더 잘 이해하고, 고국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며, 뿌리와 연결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를 통해 국가적 자부심, 연대, 지역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 여행의 목표는 베트남이 아름다운 조국이며, 베트남 역사에는 자랑스러워할 만한 점이 많다는 것을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아이들이 조국을 더욱 사랑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이 여행은 아이들이 그룹 활동에서 더욱 독립적으로 성장하고 베트남어로 소통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광운대학교 강사이자 한국 베트남 교사 및 어린이 그룹 대표인 도 응옥 루옌 박사는 경제도시신문 기자들과 공유했습니다.
한국에 있는 해외 베트남어 교사 그룹의 회원인 도안 꽝 비엣 씨에 따르면, 베트남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베트남의 역사적 이야기와 전설을 가르치는 데 매우 신경을 쓴다고 합니다. 하지만 "실제 사람, 실제 사건"을 경험하는 여행을 통해서만 아이들은 국가적 자부심을 갖고 한국 친구들에게 조국의 유명인사와 자랑스러운 역사적 업적을 자신 있게 소개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의 많은 곳을 자녀들이 배우고 탐험하기를 바라는 사람으로서, Viet 씨는 이렇게 강조했습니다. "우리 국민을 이해하는 것은 차별을 피하는 가장 좋은 도구입니다. 우리가 우리 민족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있다면, 우리가 어느 나라 사람이든 아무도 우리를 업신여기지 못할 것입니다."
외국에서도 모국어를 유지하다
한국의 베트남 커뮤니티는 두 나라가 1992년 수교한 이후 새롭게 형성된 젊은 커뮤니티입니다. 하지만, 이는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커뮤니티 중 하나입니다(현재 약 277,000명). 따라서 한국에서 베트남어를 배우려는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해외 베트남인의 자녀들 사이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광주시와 전라도 베트남 협회의 응우옌 티 레 호아 회장은 킨테 & 도티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지역사회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무료 베트남어 수업을 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녀에 따르면, 베트남어는 베트남 민족의 정체성이며, 베트남어가 있어야만 베트남 문화가 존재할 수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한국에 있는 베트남 어린이들은 모두 베트남-한국의 혈통이 섞여 있기 때문에 이들이 한국에서 베트남 문화를 보존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다문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전국의 도, 시에 있는 다문화센터에서 한국-베트남 문화 가정의 자녀와 베트남어에 관심이 있는 한국 학생을 대상으로 베트남어 교육을 실시하도록 지원했습니다.
한국은 2014년부터 대학 입학 시험에서 베트남어를 제2 외국어로 선택했습니다. 일부 고등학교에서는 2018년부터 베트남어를 공식 과목으로 포함시켰습니다.
출처: https://kinhtedothi.vn/hanh-trinh-ve-dat-me-cua-thieu-nhi-kieu-bao-han-quoc.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