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이물질 흡인의 치료 및 예방

VnExpressVnExpress12/02/2024

[광고1]

이물질로 인한 질식은 어린이에게 자주 발생하며 잠재적으로 위험합니다. 부모는 하임리히 기동과 등 치기, 가슴 밀기 등을 수행하여 상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호치민시 탐안 종합병원 이비인후과 센터의 이비인후과 부장인 Tran Thi Thuy Hang 박사는 매년 설날마다 기도에 이물질이 들어가 질식하는 어린이가 늘어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습니다. 일반적인 원인은 아이들이 멜론 씨앗, 해바라기 씨앗, 마카다미아 너트, 밤과 같은 사탕과 씨앗을 많이 먹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이 식사하면서 장난치거나, 식사하면서 웃으면 질식이나 호기심이 생기고, 작은 물건을 삼키는 경우에도 이물질 흡인이 발생합니다.

질식의 징후로는 즉각적인 청색증, 구토, 심한 기침, 호흡곤란, 공황 등이 있습니다. 나이가 많은 어린이 중에는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이 질식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물질에 의한 질식 사고의 대부분은 아이를 즉시 의료 시설로 이송하면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습니다. 큰 이물질이 기도 전체를 막는 경우 호흡부전, 심장마비, 호흡정지 등을 쉽게 초래할 수 있으며,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린이가 이물질에 질식했을 때 조기에 인식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항 박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합니다.

아이가 여전히 분홍색이고, 울고, 비명을 지르고, 말을 한다면 부모는 아이를 앉힌 자세로 눕혀 숨을 쉬게 한 다음, 아이를 병원으로 데려가 검사를 받고 이물질을 제거해야 합니다.

부모는 이물질이 기도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면 직접 개입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해서는 안 됩니다. 이물질이 기도 더 깊이 들어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청색증을 보이거나 호흡곤란을 보이거나 울지 않거나 약하게 울면 즉시 구급차를 불러 처치를 실시하세요.

2세 미만 어린이 : 등 두드리기, 가슴 누르기 방법

아기를 뱃속에 눕히고, 머리를 왼쪽 팔에 낮게 얹고, 왼손으로 머리와 목을 받쳐줍니다.

오른손의 뒤꿈치 부분을 이용해 아이의 어깨뼈 사이를 다섯 번 세게 때립니다.

소아 이물질 흡인의 치료 및 예방

아이가 여전히 호흡곤란을 호소하거나 얼굴이 보라색으로 변하는 경우, 아이를 오른쪽으로 눕힌 후 왼손의 두 손가락으로 흉골 아랫부분을 5번 꼭 누르세요.

그래도 물건이 떨어지지 않으면 아이를 뒤집어서 등을 계속 두드리세요. 이물질이 기도에서 빠지거나 아이가 울 때까지 등을 두드리고 가슴을 밀어내는 동작을 번갈아 가며 수행합니다.

소아 이물질 흡인의 치료 및 예방 - 1

나이든 아이들: 하임리히 기동

아이가 의식이 있는 경우:

아이 뒤에 서서 아이의 허리를 팔로 감싸세요.

주먹을 꽉 쥐고 배꼽 위, 흉골 바로 아래, 상복부에 놓으세요.

앞에서 뒤로, 아래에서 위로 5번 단호하게 숨으세요. 강하고 빠르게요. 복부 밀어내기는 이물질이 기도에서 빠지거나 아이가 울 때까지 6~10회 반복할 수 있습니다.

소아 이물질 흡인의 치료 및 예방 - 2

혼수상태의 어린이:

아기를 등을 대고 눕힌 채, 다리를 아기의 허벅지 옆에 벌리고 무릎을 꿇으세요.

한쪽 손바닥의 뒤꿈치를 흉골 끝부분 아래, 상복부 부위에 놓고, 두 번째 손을 첫 번째 손 위에 올려놓습니다.

복부를 아래에서 위로 빠르고 강하고 단호하게 5번 타격합니다.

복부 밀어내기는 이물질이 기도에서 떨어질 때까지 6~10회 반복할 수 있습니다.

소아 이물질 흡인의 치료 및 예방 - 3

항 박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부모가 주의를 끌기 위해 소리를 지르고, 응급처치를 요청하고, 필요하면 의료진에 연락하라고 권고합니다.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도 부모는 자녀를 의료기관으로 데려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물질이 기도로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가족들은 아이들이 작은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3세 미만의 어린이는 견과류를 잡거나 집어서 먹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 됩니다. 놀다가 견과류가 쉽게 질식하거나 코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젤리는 5세 미만 어린이에게도 안전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뼈 없는 생선, 닭고기, 오리, 돼지고기를 먹지 않도록 하세요. 많은 가정에서는 아이들이 닭다리를 직접 잡고 먹도록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먹으면 뼈가 막힐 수 있습니다. 닭고기나 오리를 다질 때 뼈 조각이 고기에 붙어 있기 때문입니다.

칸 응옥

독자들이 귀, 코, 목 질환에 대한 질문을 하면 의사가 답변해 드립니다.

[광고2]
소스 링크

댓글 (0)

No data
No data

Event Calendar

같은 태그

같은 카테고리

같은 저자

No videos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