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롱은 수세기 동안 많은 군주국에서 수도로 선택되었습니다. 그러므로 건국 이래로 국가의 상징적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징적 성격을 실현하기 위해 한편으로는 고대인들은 왕조와 종교의 권력 의례와 관련된 기능을 가진 구조물을 건설했습니다. 반면 고대인들은 이 수도의 위치를 "하늘과 땅의 중심"으로 표현하는 작품에 대한 의미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우선, 황성 지역의 궁전들은 고고학적 유물만 있지만, 최근 발견된 유물에서는 용이 조각된 보리수 잎과 리-쩐 왕조(11~13세기) 양식의 테라코타 봉황 머리 등 전형적인 동물 모양을 한 유물이 출토되어, 뛰어난 예술적 기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상에 남아있는 가장 인상적인 흔적은 베트남에서 가장 큰 석조 용 조각이 있는 킨티엔 궁전 계단과 그 뒤를 따르는 도안몬 석문으로, 둘 다 레 왕조 초기(15세기)에 지어졌습니다. 상징 체계는 응우옌 왕조 때 북문과 깃대를 통해 지속되었습니다. 깃대는 20세기 중반까지 도심에서 가장 높은 관측소였으며, 혁명 기간에는 붉은 깃발에 노란 별이 그려진 하노이의 상징이 되었는데, 네 방향이 모두 그곳으로 이어지는 랜드마크로 항상 군림했습니다. 하노이의 로고나 그래픽 장식은 대부분 깃대를 주요 모티브로 사용했으며, 베트남 지폐에도 여러 번 등장했습니다.

하노이에만 있는 또 다른 상징: 성문. 이것은 1749년에 지어진 Trinh Doanh 경의 시대부터 Thang Long과 주변 지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성벽에 있는 성채의 입구입니다. 도시의 입구 역할을 하는 문은 역사상 21개가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1817년에 지어진 Quan Chuong Gate만 남아 있습니다. 이 문은 벽돌로 지어졌으며 간단한 망루,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튼튼한 창끝과 같은 곡선 지붕이 기와 지붕이 늘어선 거리 옆에 있어 하노이 사람들의 집단적 기억 속에 상징을 만들어냈습니다.

음악가 반차오는 도시 문을 서사시적 개선문으로 여러 번 언급했습니다. "이 구역, 이 오래된 거리, 이 오래된 도시로 가는 길, 꿈이 사라지면 천 년 된 호수의 그림자가 사라집니다"(탕롱행진의 노래)와 "다섯 개의 도시 문이 진군하는 군대를 환영하고, 마치 꽃단이 다섯 개의 복숭아 꽃잎이 피는 것을 환영하는 것과 같습니다." 반짝이는 아침 이슬이 흐르다” (하노이를 향하여 행진)
하노이 공간은 권력의 상징 외에도 문화 작품을 담고 있으며, 여러 왕조에 걸쳐 이 나라의 문화적, 지적 중심지라는 개념을 표현합니다. 때로는 1805년 문묘인 쿠옥 투 지암에 지어진 쿠에반칵과 같은 정통적인 상징도 있는데, 유교에서 문학과 학문을 상징하는 쿠에 별의 이미지를 나타낸 정자 형태로, 원형 배치와 음양 기와 지붕 시스템 아래로 빛이 퍼져 나가는 모습이 특징이며, 항상 전통적 개념에서 엄숙함을 나타내는 황금색을 띤다. 쿠에반칵 별은 현재 하노이시의 상징이자, 국가 교육 시스템에도 나타나고 있으며, 이 도시의 천년 역사와 관련된 리 왕조(1070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하지만 하노이에는 호안끼엠 호수 중앙에 있는 거북이 탑처럼 역사적 우연에서 비롯된 상징도 있습니다. 호안끼엠 호수 또는 호안끼엠 호수는 이미 하노이의 풍경적 상징이며, 구시가지와 프랑스 구역을 섬세하게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땅의 중심 개념을 진정으로 완성한 것은 퀴썬 언덕의 거북이 타워입니다. 1870년대 후반에 지어진 거북이 탑은 3층짜리 직사각형 탑으로, 아래 두 층은 고딕 양식의 뾰족한 아치가 특징이고, 맨 위층은 동아시아 사원 스타일인 둥근 창문과 용 모양의 지붕이 특징입니다.
호안끼엠 호수의 이야기는 프랑스인이 하노이 성채를 건설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호수 위에 검을 지키는 한 쌍의 용의 이미지와 성채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레타이토 왕이 명나라 침략을 물리친 후 황금 거북이 신에게 검을 돌려준 이야기를 암시합니다.

변화하는 역사는 탕롱-하노이 땅에 다양한 상징을 만들어낼 수 있는 많은 유물을 남겼습니다. 11세기의 연꽃단 전설을 간직한 일주탑이 있는 유명한 디엔후 사원, 1789년 봄 청나라 군대에 대한 광중의 승리와 관련된 동다 마운드, 응옥썬 사당 단지, 호안끼엠 호수에 비친 테훅 다리와 붓 탑은 19세기 하노이의 문화적 상징을 만들어냈으며, 롱비엔 다리와 오페라 하우스와 같은 식민지 시대 건축물도 있습니다.
근래에는 홍강을 가로지르는 새로운 다리부터 높이와 부피가 큰 대형 구조물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상징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지고 있는 듯합니다. 많은 세대는 뉴에이지 아이콘이 현대적인 가치를 표현하는 동시에 영광스러운 과거를 반영하기를 기대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