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주재 미국 대사관은 중국의 해산물 수입 금지로 피해를 입은 가리비 사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일본 정부와 협력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일본이 8월 24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처리된 방사능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하기로 결정한 직후, 중국은 일본산 모든 해산물에 대한 전면적인 금지 조치를 취했습니다.
중국 세관 당국은 성명을 통해 "이 금지 조치는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출된 물의 영향으로 식품의 방사능 오염을 방지"하고 중국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본의 고부가가치 가리비 수출품의 상당 부분은 미국에서 재수출되기 전에 중국에서 가공되므로, 일본이 새로운 시장을 모색할 때 미국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국 대사관은 일본 해산물 업계 관계자에게 연락하여 대만(중국), 태국, 베트남 등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록 가공 시설로 보내 미국 시장을 위한 일본 해산물, 특히 가리비를 계속 가공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 이니셔티브의 목표는 일본에서 미국으로 해산물을 재수출하는 새로운 경로를 만드는 것입니다.
8월 24일 일본 후쿠시마 오쿠마에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서 바다로 방출된 폐수의 모습. 사진: 글로벌타임스
이전에는 일본 가리비를 중국 공장에서 껍질을 벗기고 가공한 다음 다시 미국으로 수출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022~2023년에만 미국은 중국을 통해 1억 달러 상당의 일본 가리비를 수입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최근 수입 금지 조치로 인해 이 노선은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일본 어부들의 소득이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도쿄에 본사를 둔 시장조사 회사인 테이코쿠 데이터뱅크에 따르면, 중국으로 식품을 수출하는 일본 기업 700개 이상이 이번 금지 조치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이 짓고 있는 시설은 중국의 시설과 비슷하며 가리비를 가공하는 데 적합한 시설이 잘 갖춰져 있습니다. 더욱이, 이러한 제품은 미국 시장으로의 수출을 위한 식품 가공의 전제 조건인 FDA 등록을 받았기 때문에 원활한 수출 과정이 보장됩니다.
일본의 긴밀한 동맹국인 미국은 8월 말 처리된 물을 태평양으로 방류하는 것을 지지했습니다. 해당 국가는 석방이 안전하게 "국제 기준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대사관 관계자도 일본 북부 홋카이도로 가서 현지 가리비 생산자들을 만나 중국의 금지령에도 불구하고 두 나라 간 해산물의 흐름을 유지하는 방법을 알아내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
응우옌 뚜엣 (Japan Today, Japan Forward에 따르면)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