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2024년에 노인 의료에 약 6조 원(46억 달러)을 지출할 예정이며, 이는 5년 동안 28% 증가한 수치입니다.
한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정부는 치매 등 노인성 질환 치료비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추산 - 사진: 연합뉴스
한국은 치매 등 노화 관련 질병에 대한 의료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4년 총 비용은 약 6조 원(4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코리아타임스가 2월 13일 보도했습니다. 이 수치는 2019년 대비 28% 증가한 것입니다.
이러한 비용 증가는 한국이 2023년 11월이면 65세 이상 인구가 20%에 달하는 초고령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사실을 반영합니다.
김미애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NHIS)에서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24가지 연령관련 질환에 대한 보험료 지급액은 5조 6,000억 원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하기 전인 2019년의 4조 6,800억 원보다 19.3% 증가했습니다.
특히 2024년 상반기에만 이들 질환을 치료하는 데 드는 비용이 2조 9,000억 원에 달해 2023년 총 비용의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4년 말까지 이를 위한 총 예산이 약 6조 원에 달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예산이 늘어나는 것뿐만 아니라, 연령 관련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수도 크게 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환자 수는 2019년 200만 명에서 2023년 230만 명으로 4년 만에 16%나 늘었다. 2024년 상반기 기준으로 치료를 받는 노인 환자는 185만 명이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건강 보험에 가입하는 노인의 수도 늘어납니다. 2024년 6월 기준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보험 가입 인구는 1,014만 명으로, 이 중 945만 명이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했고, 나머지는 건강보조금을 받는 저소득계층이었습니다.
이 수치는 2016년 건강보험에 가입한 노인 수가 약 694만 명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46%나 증가한 것입니다.
김 의원은 “건강보험 가입자가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선 상황에서 초고령화 사회에서 이들이 충분하고 안전하게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종합적인 장기요양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통계청의 2022년 분석에 따르면, 2070년이 되면 한국은 노인 돌봄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나라가 될 것입니다.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향후 50년 안에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약 46.4%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취업 가능 연령의 사람 1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며, 이는 앞으로 큰 경제적,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것입니다.
[광고2]
출처: https://tuoitre.vn/han-quoc-chi-4-6-ti-usd-chua-benh-cho-nguoi-gia-20250213144941192.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