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쌀 수출국인 인도는 국내 식품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해외 쌀 판매를 줄이기 위한 추가 조치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는 인도 정부가 삶은 쌀에 수출세를 부과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껍질째 반쯤 익힌 쌀입니다. 하지만 아직 공식적인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습니다.
지난달 인도가 남아시아에서 인기 있는 품종인 바스마티 쌀이 아닌 쌀의 수출을 금지하고 태국이 생산량 감소 위기에 처하면서 아시아의 쌀 가격은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인도 정부는 내년 초 조기 총선을 앞두고 국내 식품 가격을 낮추려고 하고 있습니다.
인도 뭄바이의 한 시장에서 노동자들이 쌀을 쌓아 놓고 있다. 사진: 로이터
인도는 현재 인플레이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많은 식품, 과일, 채소의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그들은 특정 쌀 종류의 수출을 금지하는 것 외에도 밀과 설탕의 판매도 제한했습니다. 남아시아 국가는 국내 공급을 개선하기 위해 밀에 대한 40% 수입 관세를 폐지하고 국가 비축량에서 토마토와 곡물을 판매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서벵골, 우타르프라데시, 자르칸드, 비하르, 차티스가르, 안드라프라데시 등 인도의 주요 쌀 생산지 중 상당수의 강수량은 현재 평소보다 15% 적습니다. 이로 인해 쌀 공급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쌀은 인도의 우기에 가장 많이 생산되는 작물입니다.
쌀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수십억 인구의 주식으로, 이 두 지역 사람들의 일일 총 에너지 섭취량의 60%를 차지합니다. 방글라데시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도 이 비율은 최대 70%에 달합니다.
따라서 분석가들은 최근 가격 상승이 심각한 기상 악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으로 인해 세계 식량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아시아와 아프리카 사람들의 예산에 더 큰 압박을 가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하투 (블룸버그에 따르면)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