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디언은 6월 6일 이른 아침에 헤르손 지역의 러시아가 통제하는 노바 카코프카 댐이 붕괴되어 전쟁 지역을 휩쓸고 지나간 홍수로 인해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대피해야 했으며, 강 건너편에서 진행하려던 우크라이나의 상륙 작전 계획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영국 신문에 따르면, 가명인 라이바르(Rybar)라는 러시아의 유명 군사 블로거는 현지 시각으로 6월 6일 오전 2시에 폭발이 일어난 후 댐의 28개 경간 중 11개가 파괴되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 세부 사항은 즉시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이 댐은 높이 30m, 길이 3.2km(2마일)로, 카코프카 수력 발전소의 일부로 드니프로 강에 1956년 건설되었습니다. 로이터에 따르면 카코프카에는 18㎥ 규모의 저수지가 있습니다. 이는 미국 유타주의 그레이트솔트 호수와 맞먹는 규모이며, 2014년 러시아가 합병한 크림 반도와 자포로지아 원자력 발전소에 물을 공급합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카홉카 댐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 국가 안보 및 국방 위원회와 긴급 회의를 갖고 있는 모습, 2023년 6월 6일. 사진: 가디언
우크라이나가 임명한 헤르손 지역 주지사인 올렉산드르 프로쿠딘은 우크라이나가 통제하는 드니프로 강 오른쪽 강둑의 고위험 지역에 약 16,000명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프로쿠딘 씨는 사람들이 헤르손 시 상류 지역으로 대피하고 있으며, 버스를 타고 도시로 이동한 다음 기차를 타고 미콜라이우로 이동하고, 흐멜니츠키, 오데사, 크로피브니츠키, 키예프 등 우크라이나의 다른 도시로 이동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재난은 우크라이나의 공세 작전 둘째 날 발생했으며, 이는 대규모 반격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그리고 헤르손의 댐 붕괴는 강 건너편에서 진행하려는 우크라이나군의 상륙 작전 계획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고문인 미하일로 포돌랴크는 사건 이후 트위터에 "목표는 분명합니다. 우크라이나 군대의 진로에 통과할 수 없는 장애물을 만들고... 전쟁의 마지막 단계를 늦추는 것입니다."라고 밝혔습니다. "광활한 영토에서 모든 생명체가 파괴될 것입니다. 많은 주거 지역이 파괴될 것이다. 환경에는 엄청난 피해가 발생할 것이다."
뉴욕 타임즈가 검증한 영상에는 2023년 6월 6일 헤르손 지역 노바 카코프카의 댐 구간에서 막대한 양의 물이 자유롭게 흐르는 모습이 담겨 있으며, 홍수 경로에 있는 지역 사회와 인프라에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사진: 뉴욕타임스
한편, 러시아가 임명한 노바 카코프카 시장 블라디미르 레온티예프는 모스크바가 댐 붕괴의 책임이 있다는 우크라이나의 비난을 부인하며, 이 사건을 키이우가 저지른 중대한 "테러 행위"라고 묘사했습니다.
러시아 관계자는 카코프카 수력발전소의 피해 규모가 너무 심각해서 이를 복구하려면 처음부터 다시 짓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습니다.
“파괴의 정도는 매우 심각합니다. 레온티예프는 6월 6일 Solovyov Live TV와의 인터뷰에서 "이제 복원이 쉬울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며 카코프카 수력 발전소 건설은 1950년부터 1956년까지 진행됐지만, 이제 복원은 2023년에서 2024년까지만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레온티예프 씨가 이끄는 시 행정부는 6월 6일 텔레그램 채널에서 카홉카 수력발전소 댐이 붕괴된 후 헤르손 지역에서 크림 반도로 물을 공급하는 북크림 운하에는 위협이 없으며 며칠 안에 물이 빠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러시아 군인들이 2022년 5월 헤르손 지역 드니프로 강의 카코프카 수력 발전소 주변을 순찰하고 있다. 사진: 알자지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모두 이전에 상대방이 댐을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고 비난한 바 있다. 작년 10월,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홍수를 일으키기 위해 댐을 파괴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당국, 전문가, 지역 주민들은 수개월 동안 댐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불안하게 감시해 왔습니다.
올해 2월에는 수위가 너무 낮아서 많은 사람이 카코프카 저수지의 물을 냉각 시스템에 공급하는 자포로지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을 우려했습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6월 6일 댐 붕괴로 인해 해당 발전소에 즉각적인 핵 안전 위험은 없다고 밝혔지만,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포로제이아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자인 에네르호아톰도 현재로서는 원자력 발전소에 아무런 위협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벨라루스와의 북쪽 국경에서 흑해까지 이어지는 드니프로 강을 따라 있는 6개의 댐 중 5개를 통제하고 있습니다. 이 강은 국가의 전기와 물 공급에 중요한 곳입니다. 카코프카 댐은 헤르손 강 하류에 있는 댐으로 러시아군이 통제하고 있다 .
민덕 (ABC 넷 뉴스, 가디언, TASS에 따르면)
[광고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