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엔비엔푸 전역: 1954년 4월 21일, 북부와 중부 지역의 적군 총 병력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적군이 사망했습니다. 남방의 적군(홍금)까지 포함하면, 그들은 병력의 약 2/5를 잃었다.
우리 측: 디엔비엔푸 전선에서 적의 방어를 무너뜨리기 위해 우리 부대는 1954년 4월 21일 적의 반격을 여러 차례 격파하고, 공항 서쪽 마지막 위치의 철조망을 넘어 전장을 확장했으며, 요새를 보호하는 여러 벙커를 파괴했습니다.
서쪽의 마지막 위치를 파괴하고 무옹탄 공항을 점령하고 적의 보급품과 지원군을 완전히 차단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308사단과 312사단의 지휘관과 사령관은 적의 공항을 분리하기 위한 참호를 파는 작업에 부대를 동원하여 예정보다 일찍 목표를 완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우리 군대는 급히 전장을 정비하며 적에게 점점 더 가까이 다가갔고, 어떤 곳에서는 요새 울타리에서 불과 10m 떨어진 곳까지만 접근했습니다. 우리가 점령한 동부의 주요 지점, 특히 D1고지는 적의 반격에 맞서는 강력한 방어 기지가 되었으며, 또한 우리의 공격 시작점이기도 했습니다. 우리의 박격포와 포병대의 이런 높은 지점에 대한 사격은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항상 적을 위협합니다.
디엔비엔푸 전역 중 우리 군대가 므엉탄 공항을 포격했습니다. 사진: VNA
지형적으로 볼 때, 우리 군대는 동쪽의 대부분 높은 지점을 장악하고, 므엉타인 평야 북쪽의 모든 높은 지점을 장악했으며, 공항 근처에 공격 위치를 구축하고, 포위를 강화하고, 적의 보급품과 증원군을 제한했으며, 므엉타인과 홍쿰 사이의 보급로를 차단했습니다. 그들의 점령 범위와 영공도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군사적 승리의 영향으로 삼각주 지역 주민들의 군사 선동 활동은 큰 성과를 거두었고, 수만 명에 달하는 꼭두각시 군인들을 해체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보통 4월이면 하남성 당위원회는 적대 세력에 대한 정치적 공격을 개시하곤 했습니다. 수천 명의 사람들이 적의 진지와 막사로 행진하여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돌아오라고 부르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군사 작전의 결과로 하남에서만 4,000명이 넘는 적군이 탈영하여 가족과 혁명으로 돌아갔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무기를 가지고 다녔습니다.
하노이에서 디엔비엔푸 전투와 북부 삼각주 전투가 치열해지는 동안 시당 위원회는 적의 대열을 와해시키기 위해 군사적 선전 활동을 강화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이 작업에는 모든 기관, 조직 및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참여했습니다. 인민들의 선전에 눈을 뜬 많은 꼭두각시 군대는 평야에서 대대적인 작전을 마치고 돌아와서 다양한 핑계를 대며 의무를 회피했습니다. 부오이 학교에 주둔하던 제5공수대대와 베트남 캠퍼스의 제7공수대대는 완전히 해체되었습니다. 바흐마이 공항에서는 단 5일 만에 1,200명의 군인이 탈영했습니다. 이처럼 큰 성과를 거두면서 군사 선전 활동은 정말로 강력한 공세의 선봉이 되었고, 특히 디엔비엔푸에서 프랑스 측이 병력을 보충하고 전선을 구원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적군 측에서는 큰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약 5,000명의 적군이 전투에서 패배했고, 적의 4개 대대와 9개 중대가 완전히 파괴되었습니다. 사망한 적군의 수는 북부와 중부 지역의 전체 적군의 약 절반에 해당합니다. 남방의 적군(홍금)을 포함하면 적군은 병력의 약 2/5를 잃었다.
그러나 적군은 디엔비엔푸를 끝까지 지키기 위해 병력, 무기, 장비를 보충하기 위해 온갖 방법을 다했습니다. 이때쯤 계절의 첫 비가 내리기 시작해서 양쪽의 참호가 물에 젖었습니다. 나바르와 그의 참모들은 디엔비엔푸를 1954년 5월 20일까지 사수한다면 프랑스군이 승리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왜냐하면 당시에는 폭우와 홍수로 인해 우리가 보급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우리는 반드시 후퇴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이러한 의도를 실행하기 위해 인도차이나의 프랑스 공군도 최대 규모로 동원되어 후방에서 디엔비엔푸까지 우리의 진지와 수송로를 공격하고 보급품을 확보했습니다. 프랑스 수송기 부대는 나바르가 기술적 능력을 초과하여 사용했고, 인도차이나의 프랑스 공군 사령관인 로진은 좌절하며 불평했습니다. "프랑스 수송기는 한 달에 3,700시간에서 7,000시간으로 비행했고, 보급품은 갑자기 한 달에 4,000톤에서 10,000톤으로 늘어났습니다. 4월 중순에만 8대의 비행기가 격추되었고 47대가 손상되었습니다."
디엔비엔푸 전장에서 367연대의 대공포에 의해 격추된 B24 비행기의 잔해. 사진 보관소
전반적으로 우리 군대의 두 차례의 공격 이후, 프랑스 장군들은 디엔비엔푸의 요새가 파괴될 수 있다는 위험을 느꼈습니다. 그러한 위험에 직면하자 프랑스 정부는 혼란에 빠졌을 뿐만 아니라, 미국 역시 매우 걱정했습니다. 펜타곤은 프랑스에 막대한 원조를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벌처(Vulture)"라는 군사 계획을 제안하였는데, 이는 클라크 필드 기지에서 당시 미국의 가장 큰 전략 항공기인 B29 항공기 80~90대를 출격시키고, 제7함대 전투기 150대의 호위를 받아 디엔비엔푸를 포위하고 있는 베트민군 부대를 폭격하고 "격파"할 계획이었다.
탄빈/qdnd.vn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