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4일, 필리핀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동해에서의 "갈등 위험을 피하기 위해"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을 갖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필리핀 대통령 마르코스 주니어 (오른쪽) 2023년 1월에 베이징을 방문했습니다. 2023년 1월 4일 마르코스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명예 경비대를 사열할 때 찍은 사진입니다. (출처: THX) |
호주의 국영 방송인 ABC는 멜버른(호주)에서 열린 ASEAN-호주 정상회의에 참석하여 기자들과 대화한 필리핀 대통령이 영해에서 단 한 건의 사건만 발생해도 갈등이 더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마르코스 씨는 "갈등 가능성은 이전보다 훨씬 높아졌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우리는 전쟁에 나간다'고 말하는 누군가의 전략적 결정이 아니라 일부 군인이 실수를 하거나 일부 행동이 오해를 받아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걱정입니다."
그 방법을 묻자, 리더는 다른 리더들에게 효과가 있었던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필리핀 국가 원수는 냉전이 한창이던 당시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와 소련의 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가 핵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던 와중에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직접 통신 채널을 구축했다고 언급했습니다.
마르코스 씨는 중국 국가주석과도 유사한 소통 채널을 원한다고 밝혔고 이를 2023년 1월 베이징에서 제안했습니다.
지도자에 따르면, 핫라인은 "한 국가 원수로부터 다른 국가 원수에게 전달해야 할 메시지가 있을 경우, 그 메시지가 반드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필리핀 대통령은 이 제안을 실현하지 못했습니다.
[광고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