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에 국회에서 심의되고 승인될 예정인 특별소비세법(개정) 초안에 따르면, 재무부는 100ml당 설탕 함량이 5g을 초과하는 청량음료에 10%의 특별소비세를 부과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재무부에 따르면 이는 과세 대상 품목에 새로 추가되는 항목이므로, 기업이 저당 제품을 생산 및 수입하도록 장려하고, 인식을 제고하며, 소비자 행동을 조정하기 위해 10%의 세율을 제안했습니다.
재무부는 "전체 적용 범위로의 확대는 베트남의 상황에 맞는 증거와 설득력 있는 주장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연구되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보건부는 위 품목에 40%의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보건부 법무국의 황티투흐엉(Hoang Thi Thu Huong) 씨는 "10% 세금은 소매 가격을 5% 인상할 뿐이며, 이는 소비자 행동을 바꾸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하며 현재 병당 10,000동인 청량음료 제품의 예를 들어 설명했습니다. 10% 세금을 적용하면 판매 가격은 병당 10,500동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세계보건기구(WHO)는 설탕 음료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설탕 음료의 소매가격을 20% 이상 인상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는데, 이는 공장도와 수입도에 대한 특별소비세율을 40%로 인상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솔루션은 공중 보건을 개선하고, 예산 수입을 늘리고, 관련 질병에 대한 의료비를 줄이고, 장기적인 노동 생산성 손실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베트남의 경우, HealthBridge Canada와 WHO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위의 세율을 적용하면 예산 수입은 약 17조 4천억 VND에 달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중보건대학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세율을 40%로 인상하면 소비가 감소하고 과체중률은 2%, 비만률은 1.5% 감소하며, 2형 당뇨병 발병 건수가 81,000건 이상 예방되고 의료비가 2,455만 달러 절감될 것으로 추산되었습니다.
베트남의 WHO 전문가인 응우옌 투안 람(Nguyen Tuan Lam) 씨는 또한 유엔 보건 기구가 재무부에 2030년까지 특별 소비세율을 40%로 인상하여 이들 제품의 구매력을 낮추는 로드맵을 고려할 것을 권고했다고 말했습니다.
설탕이 함유된 음료에 소비세를 부과하는 국가 수는 지난 15년 동안 급격히 증가하여 2009년 35개국에서 2023년 104개국으로 늘어났습니다. 이 중 6개국은 동남아시아 국가로, 태국, 필리핀,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라오스, 브루나이입니다.
태국에서는 설탕이 많이 함유된 음료에 대한 특별소비세 정책을 시행한 지 2년 만에 이 품목의 평균 일일 소비량이 약 3% 감소했습니다. 탄산수 소비량이 약 18% 감소했습니다. 멕시코에서는 설탕이 들어간 음료 소비가 첫해(2014년)에 6% 감소했고, 이듬해에는 10% 감소했습니다.
베트남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설탕이 많이 들어간 음료의 소비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설탕이 첨가된 음료의 총 소비량은 2009년 15억 9천만 리터에서 2023년 66억 7천만 리터로 급격히 증가했습니다(420% 증가). 가장 인기 있는 설탕 음료인 청량음료를 많이 섭취하면 성인과 어린이 모두에게 과체중, 비만 및 대사 장애의 원인 중 하나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2형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의 합병증, 뇌졸중 및 사망 위험이 증가합니다.
보건부는 또한 흡연을 제한하고 공중 보건을 보호하기 위해 알코올세를 최소 10% 인상하고 담배세를 인상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TH(VnExpress에 따르면)[광고_2]
출처: https://baohaiduong.vn/de-nghi-danh-thue-tieu-thu-dac-biet-40-voi-nuoc-ngot-396373.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