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7일 수도 키갈리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폴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은 대량 무덤에 화환을 바치고 키갈리 대량학살 기념관에 추모 불꽃을 밝혀 조의를 표했습니다. 이곳에는 25만 명 이상의 희생자가 묻힌 것으로 추정됩니다.
폴 카가메 대통령이 르완다 대량학살 30주년을 맞아 추모 불꽃을 밝히고 있다. 사진: AFP
수천 명의 사람들이 참석한 가운데, 아프리카 국가 원수들과 전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이 이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빌 클린턴은 이 대량 학살을 자신의 행정부의 가장 큰 실패라고 불렀습니다.
수천 명의 사람들 앞에서 카가메 대통령은 국제 사회가 집단 학살을 막는 데 실패했다고 말했습니다. 국제 사회가 개입하지 못한 것이 장기간의 대치 상황에 대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아프리카 연합 사무총장인 무사 파키 마하마트는 "아무도, 심지어 아프리카 연합조차도 국제 사회의 무관심을 용서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4월 7일에 일어난 사건은 르완다에서 일주일간의 국가적 애도 기간을 알리는 신호였으며, 국기가 반기로 게양되었습니다. 음악은 공공장소나 라디오에서 재생되지 않으며, 스포츠 경기와 영화는 TV에서 방송되는 것이 금지됩니다.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은 프랑스가 임박한 학살에 대한 경고를 무시함으로써 대량 학살 당시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것을 계속해서 인정했습니다.
대량학살이 일어났을 당시, 프랑스는 오랫동안 르완다의 후투족이 주도하는 정권을 지원해왔고, 이로 인해 두 나라 사이에 수십 년간의 긴장이 고조되었습니다.
한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학살의 여파가 "르완다와 전 세계에서 여전히 느껴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그 100일간의 공포와 르완다 국민들이 겪은 고통과 상실을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1994년 4월 6일 밤, 후투족 출신인 르완다 대통령 주베날 하비아리마나가 암살당하자 후투족 극단주의자들과 "인테라함웨" 무장 세력의 분노가 폭발했고, 그로부터 몇 시간 후 대량 학살이 시작되었습니다.
투치족 반대 선전에 의해 자행된 학살로 인해 희생자들은 총에 맞거나, 구타당하거나, 참혹하게 살해당했습니다. 유엔의 통계에 따르면, 최소 25만 명의 여성이 강간당했고, 80만 명이 넘는 투치족과 20만 명이 넘는 온건 후투족이 단 100일 만에 살해당했습니다.
현재 르완다에는 200개가 넘는 대량학살 기념관이 있으며, 새로운 집단무덤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대량학살은 의무적인 중등 교육 과정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르완다에 따르면, 단 28명의 대량 학살 용의자만이 르완다로 인도되었으며, 수백 명의 다른 용의자들은 여전히 도주 중이다.
응옥 안 (AFP에 따르면)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