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경 씨는 사이공에서 10년을 살았지만, 여전히 한국에서처럼 매년 중추절마다 친구들에게 줄 송편 케이크를 주문하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경 씨는 찹쌀가루로 만든 송편에 녹두, 팥, 검은깨 등을 넣어 만든 송편은 한국인에게 추석에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라고 말했습니다.
추석은 풍성한 수확과 가족 모임을 기념하는 한국의 추수감사절과 비슷합니다. 이 행사가 되면 사람들은 고향으로 돌아가 무덤을 방문하고 조상에게 제물을 바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민속놀이를 개최합니다. 명절 전에 사람들은 종종 서로에게 선물을 주는데, 선물에는 송편, 인삼, 소고기, 과일 등 받는 사람이 그 주 동안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있습니다.

김윤경 씨가 9월 28일 오전 호치민시 7군에 있는 집에서 송편 케이크를 만들었습니다. 사진: 응옥 응안
윤경씨는 가족과 함께 호치민시에 처음 온 해에 중추절에도 사람들이 평소처럼 일하는 것을 보고 매우 놀랐고 실망했습니다. 반면 그녀의 고향에서는 사람들이 3~4일 동안 쉬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사람들은 제 시간에 집에 돌아가기를 원한다면 봄이나 여름에 기차표를 사야 합니다.
한국에서는 제사를 지내기 이틀 전에 가족이 모여 콩을 불려 놓고, 송편을 만들고, 20가지의 다양한 음식으로 제사상을 차립니다. 아이들과 조부모가 대화를 나누는 동안 식사 시간은 보통 3~4시간 정도 걸립니다.
윤경씨는 베트남에서 10년간 살아오면서 의례가 단순해졌고, 그녀의 부담은 절반으로 줄어든 것 같다고 말했다. 매년 이날에는 그녀는 선물을 보내고 친구들에게 전화를 걸어 축하를 전합니다. 4인 가족은 사업에 바빠서 중추절 밤에 생선, 김치, 된장, 여러 가지 국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식사만 만들어서 함께 먹었습니다. 디저트로는 송편을 곁들인 찐 녹두전을 먹고 차를 마신다.
윤경씨는 "우리는 중추절을 평화롭고 여유롭게 보내고 싶다"고 말했다.
김윤경 씨는 많은 동포들이 살고 있는 7군, 푸미흥 도시 지역에 살고 있습니다. 호치민시, 타오디엔구, 투덕시, 2군의 일부 고급 아파트에도 많은 한국인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이런 지역은 '코리아타운'으로 불린다. 호치민시 우호 조직 연합의 통계에 따르면, 이 도시의 한인 사회는 약 9만 명입니다.
매년 음력 7월 말이면 이 지역의 음식점과 백화점에서는 중추절 등불로 장식을 하기 시작합니다. 호치민시 사회인문과학대학 한국학과 강사인 김병선 교수는 베트남에 거주하는 한인 사회는 대부분 소규모 가족이나 독신이라고 말했습니다. 베트남에서는 추석이 공휴일이 아니기 때문에 친척을 방문하기 위해 한국으로 돌아가는 관습이 없습니다. "베트남에서는 한국인들이 여전히 일부 전통적인 관습을 유지하고 있지만 그것을 많이 단순화했습니다."라고 교수는 말했습니다.
지난 주 김병선 씨와 그의 아내는 한국-베트남 학교에서 제빵 수업에 참석했습니다. 아이들은 송편을 반죽하는 법, 소를 만드는 법, 모양을 잡는 법, 쪄내는 법을 배웁니다. 그들은 함께 전통 노래를 부르고 케이크를 즐겼습니다. 그 교수는 아일랜드와 영국에 사는 두 아들을 두고 있지만, 그는 항상 부모님께 추석이에게 전화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계획에 따르면, 중추절 밤에 그와 그의 아내는 호치민 시 1군의 한 레스토랑에서 친구 몇 명과 함께 저녁을 먹을 예정입니다.

김병선 씨(왼쪽 표지)와 그의 부인, 그리고 국민들이 9월 25일 호치민시 투덕시에서 중추절을 앞두고 모여서 먹고 마시고 있다. 사진: 응옥 응안
일부 한국인들은 베트남식으로 중추절을 즐깁니다. 오민석(24세) 씨는 1년 동안 베트남에 머물렀습니다. 베트남학을 전공하는 남자 학생은 호치민시 5군의 중추절 분위기에 특히 감명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그와 8명의 한국인 친구는 차를 타고 루옹누호크 거리의 등불 거리를 방문했습니다. 그들은 군중 속에 섞여 공부방을 장식하기 위해 대나무 등불을 샀다. 민석씨는 "거리의 번잡함과 어디서나 들리는 웃음소리에 놀랐다"고 말했다.
부산 출신인 그는 중추절 기간 동안 서울과 같은 한국의 대도시에 머물게 되면 모두가 고향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극도로 외로움을 느낀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차와 트램 티켓은 매진되었고, 주요 도로는 텅 비어 있으며 골목길은 텅 비어 있습니다.
하지만 그는 베트남에서는 그 반대를 보았습니다. 호치민시 1군의 중심가에서 보도에 케이크를 파는 가게, 등불로 장식된 카페, 미니어처 풍경 속에서 중추절 사진을 찍는 소녀들을 통해 중추절 분위기가 느껴진다.
이런 분위기는 민석 등 유학생들에게 따뜻한 느낌을 준다. 그는 올해 코리아타운에서 송편을 사는 대신 베트남 월병을 먹기로 했습니다. 그의 친구들 중 일부는 케이크가 한국인 입맛에 너무 달다고 말했지만, 그 외국인 학생은 여전히 "꽤 맛있다"고 느꼈습니다.

김동환(왼쪽 표지)과 그의 아내는 2023년 1월 대한민국 대구시에서 가족 모임 식사를 했습니다. 사진: 캐릭터 제공.
투덕시에 있는 한국계 회사에서 일하는 김동환 씨(41세)는 사무실 동료들이 서로 인사를 나누는 것을 보고야 추석이 온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베트남 문화에 따르면, 회사는 여전히 공휴일에도 일을 하며, 한국처럼 직원들에게 선물을 보내지 않습니다.
그는 2018년에 베트남 여성과 결혼했고, 아내의 고향에서 중추절을 자주 기념합니다. 시간도 부족하고, 요리할 한국식재료도 구하기 어려워서 그냥 밥만 같이 먹습니다.
하지만 가족 모임 문화 때문에 가족에 대해 가장 많이 생각하는 시기는 여전히 이때다. 대구 출신의 이 남성은 할머니와 함께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할머니가 밥을 짓고 떡을 만드는 것을 종종 도왔다.
그녀가 죽은 후에도 7명의 가족은 이 전통을 이어갔습니다. 김동환은 중추절에 영상통화로 가족을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들은 서로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했습니다. 동환이의 부모님은 아이들과 추억을 공유하게 됩니다.
동환은 "가족의 애정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멀리 떨어져 있어도 따뜻함을 느낄 수 있어요"라고 말했다.
응옥 응안
Vnexpress.net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