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옥 한 씨는 일본의 사찰과 탑에서 자신이 디자인한 아오자이를 모델로 활동하면서 추위를 참았습니다.

이 사진 시리즈는 응옥 한이 2월 초 출장 중 후쿠오카 지방에서 섭씨 0~2도의 날씨에 촬영했습니다. 이 행사는 일본 내 베트남인을 위한 문화 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이었습니다. 그녀는 두 가지 아오자이 컬렉션을 출시했는데, 하나는 김황 그림에서 영감을 받았고, 다른 하나는 전통 기모노의 허리띠인 오비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응옥 한은 김황의 그림에서 따온 용 모티브가 들어간 모던한 셔츠와 밀짚 가방을 매치해 포즈를 취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의 킴 황 그림 계통은 18세기 후반에 킴방과 황방이라는 두 마을이 합병하여 형성되었으며, 이후 킴 황이라고 불렸습니다. 이 그림의 주제는 돼지, 닭, 북부 시골 풍경 등 일상생활에 가깝습니다. 이 그림은 붉은 종이에 그려졌기 때문에 홍화(赤畵)라고도 불린다. 사람들은 종종 설날에 그림을 사서 선물하는데, 이를 통해 집에 행운을 불러오기를 바랍니다. 홍수, 흉작, 기근 등으로 인해 이러한 장르의 그림은 점차 쇠퇴하여 1945년 이후 사라졌습니다. 2015년에 장인 다오 딘 청(Dao Dinh Chung)에 의해 복원되었습니다.

김황 그림은 인쇄, 색칠, 그림을 능숙하게 조합하여 선이 뚜렷한 그림을 만들어냅니다. 응옥 한은 다양한 소재에 여러 번 시도해야 했기 때문에 자신의 디자인을 셔츠에 구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림의 주제가 풍부해서 그녀는 장인들에게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여 용, 봉황, 잉어가 용으로 변신하는 모습을 아오자이에 그려달라고 조언을 구했습니다.

응옥 한은 실크, 태피터, 리넨과 같은 친숙한 소재를 사용하여 오늘날 인기 있는 전통적인 허리 조임이나 스트레이트 컷 디자인을 홍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기모노의 오비에서 영감을 받아 아오자이 컬렉션을 만든 응옥 한은 일본을 여러 번 방문할 때마다 오비를 수집했으며, 이 천으로 아오자이를 만드는 아이디어를 소중히 여겼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작년에 자신의 컬렉션을 출시했지만 큰 무대에서 선보일 기회는 없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