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치민시 인민위원회의 최신 결정에 따르면, 2024년 10월 21일부터 시내 신규 부동산 프로젝트 및 신규 주택 건설 프로젝트 투자자는 기술 인프라가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 및 주택 건설 투자 프로젝트의 토지 사용권을 자체 주택을 건설하는 조직 및 개인에게 양도할 수 없습니다.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의 최신 결정에 따르면, 2024년 10월 21일부터 시내 신규 부동산 프로젝트 및 신규 주택 건설 프로젝트 투자자는 기술 인프라가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 및 주택 건설 투자 프로젝트의 토지 사용권을 자체 주택을 건설하는 조직 및 개인에게 양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2023년 부동산 사업법은 도시 지역 내 토지 분할 및 매매 사업만을 금지하고 있었지만, 이번 결정을 계기로 호치민시는 공식적으로 도시 내 토지 분할 및 매매 사업을 금지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도시에는 토지 면적을 소유한 가구와 개인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여전히 토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정도 있습니다.
실제로 2003년 토지법은 도시지역과 도시계획개발구역 내에서는 토지의 분할과 매각을 전면적으로 금지했지만,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내에서는 토지의 분할과 매각을 허용했습니다. 2008년 부동산 시장이 어려움을 겪던 당시, 2013년 토지법이 중앙 지역 내 토지 분할 및 매매를 허용하면서 이 규제는 완화되었습니다.
이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부동산 시장의 어려움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느슨한 규제로 인해 토지 분할과 매각이 도시 외곽에서 이웃 지방까지 확대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도 했습니다. 그곳에서 배수 시스템도 없고, 공용 공간도 없고, 주변 지역과 인프라도 연결되지 않은 채 자발적으로 주거 지역이 많이 형성되었습니다.
불법 건설 활동도 이곳에서 시작됩니다. 그 결과 도시 개발 계획이 방해를 받고, 토지 자원이 낭비되고, 부동산 투기가 증가합니다.
호치민시 건설국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6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이 도시에서는 건설 명령을 위반한 건설 공사가 3,085건(일평균 1.7건) 발생했습니다. 이 기관은 위와 같은 상황의 주된 이유로 도시 내에서 농지를 사고팔고 구획을 나누어 판매함으로써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다는 점을 꼽았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부 투기꾼들은 사람들의 주택 수요를 이용해 토지 용도를 변경하고 농경지에 주택을 짓고 사업에 이용하거나, 한 채의 주택을 여러 개의 작은 아파트로 나누는 등의 행위를 했습니다. 이들은 이후 불법문서 형태로 거래를 진행했고, 이로 인해 호치민시 일부 교외지역과 외곽지역에서 복잡한 건설 활동이 발생했습니다.
또한 토지의 세분화와 매매에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일부 조직과 개인이 투기 목적으로 이를 악용하고 있다는 점도 덧붙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실제 주택이 필요하지 않은 많은 개인이 토지 분할과 매각을 이용해 빠른 이익을 취했고, 이로 인해 많은 지역이 버려지고 낭비되었습니다.
토지의 세분화와 매매를 엄격히 하면 단기적으로 토지 거래가 감소하고 토지 가격이 상승할 수 있지만 다른 부정적인 결과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호치민시에서 토지 분할 및 매각을 금지하는 규정은 주택에 대한 국가 관리를 통일하고 프로젝트 투자자의 책임을 강화하여 기술 인프라 건설과 사회 인프라 건설에 대한 동시 투자를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허가 없이 또는 잘못된 허가를 받아 건물을 짓는 사람을 피하세요. 문제는 호치민시가 토지 분할 및 매각 프로젝트를 완전히 금지함으로써 투기자들이 법을 회피하기 위해 그들만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호치민 시는 왜 토지 분할 및 매각 프로젝트를 금지하지만, 토지 면적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가구와 개인이 토지를 분할하는 것은 여전히 허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을까요? 토지 분할을 허용하는 정책은 토지를 분할하고 판매하는 활동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개인이나 단체가 토지 분할 정책을 이용해 토지를 분할한 뒤 다시 판매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구매자를 유치하기 위해 "프로젝트"로 위장된 토지 구획이 많이 있습니다. 농지와 비농지 위에 임의로 주택을 짓고 이를 사고파는 조직과 개인이 3대 공동주택 지역(공동소유, 공동건축허가, 공동주택번호)을 형성하는 상황은 말할 것도 없다. 이는 최근 가격 인플레이션, 토지 과열, 시장에 대한 잠재적 위험으로 이어지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관리기관의 임무는 위의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조화롭게 처리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토지의 세분화와 매매가 더욱 정교해지거나 부정적인 방향으로 왜곡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필연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발전과 향후 도시 계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광고_2]
출처: https://baodautu.vn/batdongsan/chan-bien-tuong-phan-lo-ban-nen-d229239.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