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개발 은행(ADB)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중국, 일본, 한국(ASEAN+3) 회원국의 지속 가능한 채권 시장은 작년에 29.3% 성장하여 글로벌 및 유로존 지속 가능한 채권 시장의 21% 성장률을 앞지르고 있습니다.
3월 21일에 발표된 최신판 "아시아 채권 모니터" 보고서에 따르면, ASEAN+3 경제권의 지속 가능한 채권 재고는 작년 말에 7,987억 달러에 달해 전 세계 총량의 약 20%를 차지했습니다.
글로벌 및 유로존 지속 가능한 채권 시장은 2023년 말까지 각각 4조 달러와 1.5조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속 가능한 채권 또는 그린 본드는 환경 및 사회적 혜택을 제공하는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는 채권 수단입니다.
ADB 수석 경제학자 앨버트 파크는 "ASEAN 지속 가능한 채권 발행은 공공 부문 참여에 힘입어 2023년 현지 통화와 장기 자금 조달에서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공공 부문의 참여는 지속 가능한 채권 공급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의 모델 역할을 하며 국내 시장에서 이러한 채권에 대한 장기 가격 벤치마크를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ASEAN 시장은 작년에 191억 달러의 지속 가능한 채권 발행을 기록했으며, 이는 ASEAN+3 지속 가능한 채권 시장 전체 발행의 7.9%를 차지했습니다. 반면, ASEAN+3 시장에서 ASEAN 채권 발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2.5%였습니다.
"슈퍼트리"는 싱가포르의 녹색 공간 증진 노력을 상징하는 가든스 바이 더 베이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사진: 내셔널 지오그래픽
ASEAN은 지속 가능한 채권 발행에서 국내 통화 자금 조달과 장기 자금 조달의 비중이 더 높으며, 지속 가능한 채권의 80.6%가 국내 통화로 발행되었고 규모에 따른 평균 만기는 14.7년입니다. 이 수치는 ASEAN+3의 각각 74.3% 및 6.2년, 유로존의 각각 88.9% 및 8.8년 수준보다 높습니다.
2023년 12월 1일부터 2024년 2월 29일까지 신흥 동아시아 지역의 금융 상황은 약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통화 정책을 완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인플레이션이 적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 지역 대부분 경제가 안정적인 성장을 경험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지역의 9개 경제권 중 6개 국가에서 주식 시장이 상승했고, 이 지역으로의 순 외국인 유입액은 총 174억 달러로 기록되었습니다. 신흥 동아시아에는 ASEAN, 중국, 홍콩(중국), 한국이 포함됩니다.
신흥 동아시아의 자국 통화 채권 시장은 2023년 4분기에 2.5% 성장해 25.2조 달러에 달했습니다. 대부분 정부가 이전 분기에 자금 조달 요건을 충족함에 따라 총 채권 발행은 전 분기 대비 4.8% 감소했고, 중국의 약한 경기 전망 속에 기업 차입이 감소했습니다.
베트남의 국내 통화 채권 시장은 만기가 다가오는 국고채권의 규모가 커지면서 전 분기 대비 0.4% 하락했습니다. 2023년 4분기에 총 360조 3,000억 동(148억 달러)의 국고채권이 만기되는데, 베트남국립은행(SBV)은 작년 11월에 채권 발행을 중단했습니다.
정부 채권 발행 규모는 발행 감소로 인해 전 분기 대비 2.0%만 증가했고, 기업 채권 발행 규모는 전 분기 감소 이후 6.8% 증가했습니다.
베트남 국채 수익률은 2023년 12월 1일부터 2024년 2월 29일까지 대부분 만기에서 감소할 것입니다. 2023년에 SBV는 2023년 4월부터 6월까지 재융자 금리를 총 150베이시스포인트 인하한 다음, 경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2023년 7월부터 금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했습니다.
최신 버전의 "아시아 채권 모니터" 보고서에는 처음으로 라오스 채권 시장에 대한 요약이 실렸습니다. 이 보고서는 또한 2023년 AsianBondsOnline 채권 시장 유동성 조사의 결과를 제시합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에 유동성 상황이 개선되었고,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좁아졌으며 국채와 회사채 모두 거래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민 덕
[광고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