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족의 여왕 비문
동즈엉(탕빈)에 있는 참족 유적은 건축적 규모, 숭배 조각상, 비석(기호 C 66)으로 유명하며, 비석은 인드라바르만 왕이 재위하던 875년에 만들어졌습니다.
비문 C 66은 인드라바르만 왕이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재능과 덕으로 왕위에 올랐다는 것을 기리고 있습니다.
인드라바르만 왕은 참파에 번영의 시대를 열어주었습니다. 그 증거는 광남성뿐만 아니라 하이반 고개 북쪽 지역에도 많은 유물과 비석에 오늘날까지 남아 있습니다.
인드라바르만 시대의 비석에는 하라데비 여왕을 기리는 특별한 비석이 있습니다(기호 C 67). 이 비문은 여왕의 아름다움과 덕성을 칭찬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사랑하는 남편을 섬기는 것을 자랑스러워했습니다. 그녀는 항상 가장 높은 진실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그녀는 자신의 부를 영적 열망을 이루고 타고난 덕을 드러내는 데 사용했습니다. 그녀는 자주 승려와 모든 덕 있는 사람들에게 선물을 보냈습니다... 그녀는 왕실의 모든 연장자들에게 사랑을 받았고, 그들은 항상 그녀의 안녕을 위해 기도했습니다."(Louis Finot, BEFEO, 1904, p. 67)
이것은 참파 여성의 역할과 공헌에 대해 알려주는 희귀한 텍스트로, 특히 남편이 사회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했을 때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들이 정치에 어느 정도 참여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참족의 귀족 여성들이 지역 사회에서 존경받는 인물이었고, 그들의 개성이 공통 도덕의 기준이 되었다는 것은 알 수 있습니다.
숫처녀
참족의 비문을 떠나면 역사책에 전설로 등장하는 미에 여왕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1044년, 리타이통 왕은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참파를 공격했습니다. 참파의 왕 사 다우는 전장에서 죽었습니다. 리왕은 팟테의 수도에 들어가 참파왕의 왕비, 후궁, 미녀들을 사로잡았습니다. 그런 다음 다시 항해하세요.
《다이 비엣 수 끼 또안 투》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리냔 궁에 도착했을 때, (왕은) 시녀에게 사 다우의 후궁인 미에를 불러 왕의 배를 시중들게 하라고 명령했습니다. 미에가 몹시 화가 나서 몰래 담요를 두르고 강물에 뛰어들어 목숨을 잃었습니다. 왕은 그녀의 정절을 칭찬하고 히엡 친 후 티엔 푸 냔이라는 칭호를 내렸습니다."
"비엣 디엔 우 린"과 "린 남 칙 콰이"라는 책에는 14~15세기 사람들 사이에 전해져 내려온 기적적인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으며, 모두 미에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대비엣 역사에 따르면, 1044년에 리 왕조의 왕이 많은 참파족 포로들을 데려와서 타인호아의 응에안에서부터 라오까이의 옌바이까지 여러 지역의 마을에 정착시켰다고 합니다.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은 차우장 강어귀(투안브엉 교차로, 푸크만 마을, 하남성)로, 현재 이곳에는 미에를 숭배하는 무덤과 사원이 있습니다.
미이의 순수하고 우울한 정신은 마을 사람들이 사찰 문에 새긴 평행 문장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차우장의 몸은 항상 부처님의 맹세를 기억하고/ 영혼은 푸크만 마을에 남아 있지만 여전히 치엠 지역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광고_2]
출처: https://baoquangnam.vn/hoang-hau-champa-trong-van-bia-cham-va-su-viet-3144097.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