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말까지 중국 시장으로 수출되는 베트남 두리안의 양은 1.5배 증가했습니다.
중국 세관 자료에 따르면, 작년 1~11월 베트남에서 수입된 두리안 양은 약 72만 1천 톤에 달해 2023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습니다. 반면, 태국의 대중국 두리안 수출량은 13% 감소한 79만 6천 톤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베트남은 점차 태국과의 격차를 줄이고 있으며, 2025년까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대국으로의 두리안 수출에서 선두를 차지할 잠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베트남 과일 및 채소 협회 사무총장인 당푹 응우옌(Dang Phuc Nguyen) 씨에 따르면, 베트남은 중국과 가까운 지리적 위치로 인해 운송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수확기가 길고 태국과 수확 기간이 겹치지 않는 것이 장점으로, 지속적인 공급이 보장됩니다. 그에 따르면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베트남은 수출량에서 태국을 앞지를 수도 있을 것이라고 한다.
생산량은 급격히 증가했지만, 베트남 두리안의 수출 가격은 톤당 4,000달러에 그쳐 태국의 5,000달러보다 낮았습니다. 이로 인해 베트남의 수출액은 같은 기간 동안 38% 증가한 약 29억 달러에 달했지만, 태국(39억 달러, 12.5% 감소)보다 여전히 낮았습니다.
이웃 시장의 호의에도 불구하고, 응우옌 씨는 베트남 농부와 기업이 중국과의 의정서 규정을 엄격히 준수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안정적인 품질과 강력한 브랜드 구축은 태국 제품 및 다른 국가와 경쟁하는 데 결정적인 요소입니다.
중국은 베트남 외에도 필리핀에서 이 농산물 구매를 늘렸습니다. 2024년 11월 말 현재 이 나라의 수입액은 1,300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이는 전년 대비 3.5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작년 베트남 두리안의 총 시장 수출액은 33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2023년 대비 10억 달러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중국은 시장 점유율 90%를 차지하는 시장입니다.
두리안 수출은 올해에도 계속 증가하여 3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과일 및 채소 수출액은 80억 달러 목표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