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많은 기대를 모은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는 2023년 7월 14일에 발사될 예정이다. 지금까지 달에 성공적으로 착륙한 나라는 소련, 미국, 중국 3개국 뿐이다.
찬드라얀-3 우주선이 달에 착륙하는 시뮬레이션. 사진: ISRO
달에서 물을 찾다
1960년대 초, 아폴로가 처음으로 달에 착륙하기 전부터 과학자들은 달에 물이 존재할지도 모른다고 추측했습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 아폴로 승무원들이 분석을 위해 보낸 토양 샘플에 따르면 물이 말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08년 브라운 대학 연구진은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여 토양 샘플을 다시 조사한 결과, 작은 화산 유리 구슬 안에서 수소 원소를 발견했습니다. 2009년, 인도 우주 연구 기구의 찬드라얀-1 탐사선에 탑재된 NASA 장비가 달 표면에서 물을 감지했습니다.
같은 해, 또 다른 NASA 탐사선이 남극으로 이동하여 달 표면 아래에서 물의 얼음을 발견했습니다. NASA의 이전 임무인 1998년의 루나 프로스펙터(Lunar Prospector)에서는 남극의 그늘진 분화구에 물의 얼음이 가장 많이 모여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달에 물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자들은 고대의 물 얼음 주머니에 관심을 갖고 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달의 화산 활동, 혜성과 소행성이 지구로 가져온 물질, 그리고 바다의 기원에 대한 기록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충분한 양의 물이 얼음으로 존재한다면 달 탐사에 필요한 식수를 공급할 수 있고, 장비를 냉각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추출하여 연료로 사용할 수소와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생산할 수 있으며, 화성이나 달에 대한 광산 탐사 임무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1967년 유엔 우주조약은 어떠한 국가도 달에 대한 독점적 소유권을 주장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달 탐사와 달 자원 활용에 관한 일련의 원칙을 수립하려는 미국 주도의 노력인 아르테미스 협정에는 27개 국가가 서명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이 협정에 서명하지 않았습니다.
달의 남극을 탐험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찬드라얀 3호의 성공적인 착륙에 앞서, 러시아의 루나 25호도 이번 주에 달 남극에 착륙할 예정이었으나, 접근 과정에서 통제력을 잃고 일요일에 추락했습니다.
적도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과거 임무의 목표였던 달의 남극은 깊은 분화구와 해구로 가득 차 있어 그곳에 착륙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ISRO의 찬드라얀-3 임무가 8월 23일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고 우주국이 밝혔습니다. 앞서 인도의 임무는 2019년에 실패했습니다. 미국과 중국도 달 남극에 대한 임무를 계획했습니다.
황톤 (로이터에 따르면)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