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cftech 에 따르면, Kirin 9020은 Huawei가 이전 Pura 70 시리즈에 탑재한 Kirin 9010의 직접적인 후속 제품입니다. Kirin 9020이 6nm 공정으로 양산된다는 사실이 유출되었지만, 심층 조사 결과 SMIC는 아직 7nm를 넘어서는 공정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즉, Huawei는 여전히 Kirin 9020에 7nm 기술을 사용해야 합니다.
화웨이, '약한' Kirin 9020 칩으로 경쟁사 대비 불리
Huawei가 Kirin 9020을 돋보이게 만든 방법
TechInsights 의 분석에 따르면 Huawei는 미국으로부터의 무역 제재로 인해 생산을 확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 인해 회사는 TSMC나 삼성과 같은 파트너로부터 더욱 진보된 제조 공정에 접근하지 못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화웨이는 칩 제조를 위해 SMIC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SMIC는 7nm 또는 N+2 공정 칩 이상을 제조할 수 있습니다.
SMIC와 Huawei는 5nm 공정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협력했지만, 이 공정의 수율은 상업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아직 너무 낮습니다. 이 공정을 Kirin 9020에 적용하면 칩 가격이 비싸질 것입니다.
주목할 만한 차이점은 Kirin 9020의 다이 크기가 Kirin 9010보다 15% 더 크다는 점으로, 이로 인해 캐시 용량이 약간 더 많아지고 이전 모델보다 더 나은 성능이 보장됩니다. 한편, Mate 70 Pro+ 버전에는 Kirin 9000S 및 Kirin 9010과 유사한 패키지의 칩이 장착된 것으로 보이며, "Hi36C0" 및 "GFCV110"이라는 명칭이 붙었습니다.
TechInsights 의 보고서에 따르면 SMIC는 중국 정부로부터 거의 무제한적인 재정 지원을 받았으며 2026년까지 7nm 공정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로 인해 Huawei는 2nm 칩을 대량 생산하는 Apple과 Qualcomm과 같은 경쟁사와 경쟁하기 어려워집니다. 이제 화웨이가 기술 산업에서의 미래에 대해 걱정해야 할 때가 됐을지도 모른다.
[광고2]
출처: https://thanhnien.vn/kham-pha-chip-di-dong-moi-cua-huawei-185241213000029297.htm
Comment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