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3일, 유엔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뉴욕에 도착한 후 기자들과 대화한 이란 대통령 마수드 페제슈키안은 "우리는 중동에서 불안정의 원인이 되고 싶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 결과는 돌이킬 수 없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평화롭게 살고 싶고 전쟁은 원하지 않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이스라엘은 전면적 갈등을 조성하려는 나라입니다."
이란이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의 갈등에 개입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그는 "우리는 자신과 이익을 지키는 모든 단체를 방어할 것입니다."라고 답했습니다.
이란의 마수드 페제시키안 대통령이 9월 16일 이란 테헤란에서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 와나
페제스키안은 이스라엘이 9월 23일 헤즈볼라에 대해 맹렬한 공습을 개시한 뒤 중동 갈등을 대화를 통해 해결하자고 촉구했다. 이로써 이스라엘과 헤즈볼라가 거의 1년간 갈등을 빚어온 가운데 레바논에서 가장 피비린내 나는 하루가 되었다.
이스라엘군과 헤즈볼라 사이의 거의 매일 일어나는 전투로 인해 국경 양쪽의 도시와 마을에서 수만 명의 사람들이 집을 떠나 피난민이 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은 헤즈볼라가 국경에서 더 멀리 떨어지도록 하는 외교적 해결책을 선호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헤즈볼라는 가자지구의 갈등이 끝나야만 싸움을 끝낼 수 있다고 말합니다. 카타르, 이집트, 미국이 중재한 수개월간의 협상이 실패로 끝난 후, 가자지구에서 휴전을 이루려는 노력은 중단된 상태이다.
이란의 지역 정책은 이란의 최고 지도자인 알리 하메네이 아야톨라에게만 책임을 지는 엘리트 혁명 수비대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란이 7월 말 하마스 무장 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의 암살에 보복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페제슈키안은 "우리는 적절한 시간과 장소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할 것입니다."라고 답했다.
Ngoc Anh (Reuters에 따르면)
[광고2]
출처: https://www.congluan.vn/iran-canh-bao-ve-hau-qua-khong-the-dao-nguoc-cua-cuoc-chien-toan-khu-vuc-post313656.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