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지명을 통해 탄 문화권의 마강 유역은 동선 문화 이전, 몬-크메르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이 살았던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비옥한 평야를 만드세요
탄 문화 지역을 구성하는 강 중 하나이며 고대 베트남 문화인 동선 문화의 요람 중 하나인 마강은 현재 가장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가진 강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베트남을 흐르는 마강 구간은 길이가 410km이며, 상류는 디엔비엔과 썬라 두 성에 속합니다. 하류 부분은 전부 타인호아 성에 위치해 있으며 길이는 242km이다.
이 강은 라오스에서 발원해 베트남의 므엉랏 현(타인호아)으로 흘러들 때, 여러 다른 지류의 물을 받아 대규모 마강 유역에 속하는 강 체계를 형성합니다.
역사 및 문화 유적지의 관점에서 상류에서 하류 순으로 보면 루옹강과 로강이라는 두 개의 지류가 있는데, 둘 다 후아판성(라오스)에서 발원하여 콴손현과 콴호아현(탄호아현)을 거쳐 흘러내린 다음 콴호아현 호이쑤언타운을 거쳐 마강의 오른쪽 강둑으로 흘러든다. 위의 두 강이 마강과 합류하는 지점은 타인호아 북서부 지역의 중요한 문화 중심지인 므엉까다에 속합니다. Tran Tri Doi 교수는 "음성학 측면에서 Luong River와 Lo River라는 이름은 한때 이곳에 살았던 Mon-Khmer 사람들의 언어적 각인을 지닌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다음으로, 부오이강의 지류인 소이강은 마강의 왼쪽 둑에 있는 두 개의 지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 지류는 푸꾸엉 코뮌에서 유래되었고, 다른 지류는 탄락 현(호아빈)의 중화 코뮌의 높은 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강은 여러 다른 작은 지류에서 물을 받아 빈록 현의 하류 지역을 거쳐 마강의 왼쪽 강둑으로 흘러듭니다.
가장 중요한 지류로 여겨지는 남쪽 지류는 길이가 약 325km이며, 현재는 공식적으로 추강이라고 불리는 장강 합류 지점에서 마강의 오른쪽 둑으로 흘러듭니다. 그 덕분에 마강은 지류에서 막대한 양의 충적토를 모아 타인호아 평원을 형성했는데, 이곳은 국가의 생산물과 문화적 가치 측면에서 3대 비옥한 평원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마강 이름의 어원
지명학적으로 볼 때, Tran Tri Doi 교수의 어원학적 관점에 따르면, 르옹강과 로강은 상류에 있습니다. 소이강(Buoi), 루옹강(Luong), 수강(Chu)은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는 베트남어 그룹의 언어적 각인이 담긴 지명입니다. 마강으로 흘러드는 각 지류의 공식 및 비공식 이름은 각 역사적 시기에 따른 마강 이름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민족언어학적 자료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역사 언어학 데이터베이스를 합리적으로 접근하여 마강이라는 이름의 공식적인 어원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우리 소장에 따르면, 지금까지 마강 이름의 어원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유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식적인 설명은 실행자 스스로가 과학적 어원학의 원칙에 따라 평가한 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고 트란 트리 도이 교수는 말했다.
Mai Ngoc Chu 저자 그룹의 언어학 문서에서는 언어학 연구에서 "과학적 어원" 개념의 설명적 예를 인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적혀 있습니다. "베트남 중부에 마강이라는 강이 있습니다.
민속에 따르면, 이 강은 마치 질주하는 말처럼 빠르고 강렬하게 흐르기 때문에 마강이라고 불린다고 합니다. 마강은 '말의 강'을 뜻합니다. 송마는 실제 이름인 송마의 잘못된 명칭입니다. 고대 베트남어의 "마"는 중부 방언으로 여전히 보존되어 있으며, 원래는 어머니를 뜻합니다. 위의 설명과 고찰한 "과학적 어원"에 따르면, 마강이라는 이름은 실제 이름이 마강입니다.
하지만 또 다른 설명도 있습니다. 마강이라는 이름은 태국과 라오스 사람들이 이용하는 강의 상류 지역을 가리키는 남마(Nam Ma)라는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것입니다. 소프콥 지구(손라)의 일부 마을에 사는 태국 사람들은 상류인 남마 강이 벼가 많이 심어진 경사지와 해변을 지나 흐르기 때문에 마 강이라고 불린다고 믿습니다. 사람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강과 개울에 생태적 특징을 토대로 이름을 붙이는 것은 꽤 일반적인 명명 규칙으로 여겨진다.
태국 사람들 스스로도 다음과 같은 의견이 있습니다. 마강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논 숲을 흐르는 상류의 개울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그 이름의 증거는 오늘날 마강의 발원지인 투안차우 현(썬라)의 꼬마 사입니다.
트란 트리 도이 교수는 "위에서 언급한 마강이라는 이름에 대한 두 가지 설명에는 실제로 추가 논의가 필요한 문제가 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명확히 하기 위해, 먼저 역사 문헌에 기록된 마강 이름의 여러 형태를 살펴보겠습니다.
역사에 기록된 마강의 이름
1438년 응우옌 짜이(Nguyen Trai)가 쓴 "두디아치(Du dia chi)"라는 책은 타인호아 땅에 관한 가장 오래된 역사, 지리 문서로 간주됩니다. 31절에서 응우옌 짜이는 "나, 퉁, 르엉은 타인호아에 살았다"고 썼습니다. 따라서 탄 지방의 강 이름을 적은 지리 문서에서 응우옌 짜이는 마강의 발음으로 이름을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마강이라는 이름이 사회생활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이정표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1697년에 인쇄된 "다이 비엣 수 키 토안 투"라는 책으로, 국가 건국 초기부터 17세기까지 다이 비엣 영토에 있는 중요한 강의 이름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역사책에는 마장(Ma Giang)이라는 조합이 두 번 등장합니다.
하지만 문맥과 지리적 설명을 보면 언급된 지명이 마강을 가리키는 이름이 아니라 행정 단위를 가리키는 이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17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마강이라는 이름이 탄 땅의 역사 기록에 나타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확정했습니다.
응우옌 짜이(Nguyen Trai)의 저서 "두디아치(Du dia chi)"에 있는 하반딴(Ha Van Tan) 교수의 주석에서 "러이장(Loi giang)은 마강(Ma river)을 뜻한다"고 했으며, 전서(全書)에는 러이장이라는 지명이 총 5번 언급되어 있다. 마강의 이름을 지을 때 사용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는 사례가 4개 있다. 245쪽(2권)에 남은 시간은 행정 단위인 로이장 구의 이름입니다. 전서에 기록된 바와 같이, 17세기 말에는 로이장이 마강의 이름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로이장(Loi Giang)이라는 이름이 마강의 이름을 가리키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지명 처리에는 흥미로운 측면이 있습니다. 전서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쩐닌을 파견하여 타인호아 현의 사람들을 감독하게 하여 성채 서쪽, 남쪽으로는 돈손에서, 북쪽으로는 안톤에서 바오담문까지, 서쪽으로는 부크손의 카랑 시장에서 로이장강까지 대나무순을 심게 했다”고 한다. 전서에 언급된 성채는 호 왕조의 성채이다. 따라서 『전서』에 따르면 로이장이라는 이름은 빈록 현을 흐르는 마강의 이름입니다.
또한 『전서』에서는 마강을 가리키는 또 다른 이름인 노(격노)강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이 이름은 타인호아 지방 전역을 흐르는 강 전체의 일반적인 이름이 아니라, 황호아 현, 응우옛비엔 마을을 흐르는 마강 구간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두 개의 역사적 지리 문서와 역사 연대기를 살펴보면, 17세기 말까지 역사 속 탄 땅에 속한 주요 강에 대한 기록에서 봉건 역사가들이 마강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것을 볼 수 없습니다.
Tran Tri Doi 교수는 "현재 우리는 상류에서 바다로 흐르는 강, 즉 강의 전체 흐름을 지칭하기 위해 마강이라는 이름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나 지역 사회 생활에서 강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 항상 흔한 관행은 아니었습니다. 왜냐하면 지역 주민들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강 구간을 식별하는 특성을 기준으로 자신들이 거주하고 사는 강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지, 항상 강의 전체 흐름을 식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광고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