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EP에서 상품 경쟁에 대한 압력은 매우 큽니다. 왜냐하면 이 지역의 많은 파트너들이 베트남과 유사한 제품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경쟁력이 더 강하기 때문입니다.
대규모 소비자 시장
지역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은 ASEAN과 FTA를 체결한 6개 파트너 국가 간의 자유 무역 협정(FTA)입니다. 아세안 중국, 한국, 일본, 인도, 호주, 뉴질랜드입니다. RCEP에 참여하는 국가의 총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약 3분의 1에 달하며, RCEP는 세계 최대의 자유무역지대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RCEP는 20년 안에 회원국 간 관세를 최대 90%까지 철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현재 RCEP에 참여하고 있는 국가는 베트남의 외국인 직접 투자 상위 10개국에 속하는 6개국으로, 구체적으로는 한국, 일본, 싱가포르,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입니다. 게다가 RCEP 블록 내의 많은 국가들은 우리나라에 생산 및 수출에 필요한 다양한 원자재와 장비를 제공합니다.

산업통상부 수출입국에 따르면, 2022년(RCEP 시행 첫 해) 베트남의 RCEP 회원국으로의 농산물 수출은 모두 2021년보다 더 나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구체적으로, 호주 시장은 49.2%, 일본은 27.5% 증가했고, 많은 ASEAN 국가는 20%의 증가를 달성했습니다. 2023년까지 그리고 올해 첫 달에는 중국, 한국, 일본 등 많은 ASEAN 국가와 국가로의 다양한 유형의 농산물 수출이 계속해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베트남 과일 및 채소 협회 사무총장인 당푹 응우옌(Dang Phuc Nguyen) 씨는 RCEP 협정이 베트남 과일 및 채소 수출 기업이 세계 최대 시장에 진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언급했습니다. 특히 베트남은 RCEP 협정의 혜택을 많이 볼 수 있는 국가 중 하나가 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협정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국가가 베트남의 강점인 농산물, 해산물 등을 수입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통계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수출액의 약 80%가 중국 및 일본, 한국 등 동북아시아 국가로의 야채와 과일 수출액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동북아시아는 야채와 과일을 수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시장입니다.
2023년 우리나라의 RCEP 국가에 대한 농산물 및 상품 수출액은 약 1,465억 달러에 달해 국가 전체 수출액의 41.3%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상반기 RCEP 국가에 대한 수출액은 72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했으며, 이는 국가 전체 수출액의 39.1%를 차지합니다.
비즈니스 사고방식의 변화
베트남 과일·채소 협회에 따르면,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시장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한국과 일본으로의 과일·채소 수출도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베트남 과일·채소 협회 사무총장인 당푹응우옌은 "앞으로 우리나라는 RCEP 국가, 특히 동북아시아 국가로의 수출 시장 확대를 추진해야 하며, 수출 제품의 다각화와 많은 신제품의 수출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응우옌 씨에 따르면 RCEP 블록 내 원산지 규정의 조화 덕분에 베트남의 수출 상품은 관세 특혜를 누릴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어 일본, 한국, 호주, 뉴질랜드 등의 시장을 중심으로 이 지역으로의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합니다.
국가 간 수입 기준과 소비자 취향도 매우 유사합니다. 게다가 블록 내 국가 간의 지리적 거리가 그리 멀지 않아 물류 비용이 낮고 미국, 유럽 등 다른 시장에 비해 운송이 용이합니다.
"하지만 RCEP에서 상품 경쟁에 대한 압력은 매우 큽니다. 이 지역의 많은 파트너들이 베트남과 유사한 제품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경쟁력이 더 강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베트남 제품 대부분에 대한 품질과 부가가치는 여전히 미미한 수준입니다... 이러한 압력은 수출 시장뿐만 아니라 국내 시장에서도 발생합니다. 품질이 좋고 디자인이 아름다우며 식품 위생 및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외국산 채소와 과일이 경쟁할 것이며, 베트남 시장에 더 많이 유입될 것입니다. 한편, 베트남 국민은 본질적으로 외국산 제품을 선호합니다."라고 당 푹 응우옌 씨는 강조했습니다.

사업적인 관점에서, Vina T&T Company의 대표이사인 Nguyen Dinh Tung 씨는 RCEP 협정이 가져다주는 이점 덕분에 이전보다 더 많은 농산물, 과일, 채소에 대한 수출 시장을 개방하기 위한 협상에 유리한 조건이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많은 수출기업의 핵심사항이자 기대사항입니다.
응우옌딘퉁(Nguyen Dinh Tung) 장관은 RCEP 지역에서 상품, 서비스, 투자, 원산지 규정 및 가치에 대한 시장 개방에 대한 약속과 회원국의 무역 원활화 조치를 통해 새로운 공급망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도 창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국제 기준에 따른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촉진하는 것이 점점 더 대중화될 것입니다.
"탄탄한 개발 기반과 시장 요구에 부합하는 고품질 제품을 보유한 기업은 경쟁에서 더 유리할 것입니다. 반대로, 기존 제품을 판매하는 대량 생산 기업은 수출 시장뿐 아니라 국내 시장에서도 수입 농산물에 밀려 생존이 어려울 것입니다.
따라서 기업들은 FTA 전반, 특히 RCEP를 제품 품질을 개선하고, 공급망 관리를 완벽하게 하며, 경쟁력을 강화해 시장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는 기회이자 동기로 여겨야 합니다."라고 퉁 씨는 덧붙였다.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