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써 자몽은 드래곤프루트와 망고에 이어 한국에 수입이 허가된 베트남산 생과일 중 세 번째가 됐다.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MARD) 식물보호국의 평가에 따르면, 이는 베트남 농산물이 국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엄청난 기회를 열어주는 중요한 진전입니다. 동시에, 글로벌 공급망에서 베트남 농산물의 품질과 명성을 확고히 합니다.
인구가 5,000만 명인 한국은 베트남 자몽의 잠재적 시장입니다. 베트남 자몽은 농업 및 농촌 개발부의 과일나무 개발 프로젝트에 따르면 주요 14개 과일 그룹 중 하나입니다. 현재 전국의 자몽 재배 면적은 10만 헥타르가 넘고, 생산량은 90만 톤이 넘습니다. 자몽 재배 면적이 큰 지역은 벤째(8,800헥타르 이상), 빈롱(8,600헥타르 이상), 동나이(5,400헥타르 이상)입니다. 수출 잠재력이 큰 유명한 자몽 품종으로는 녹색 껍질 자몽, 남로이 자몽, 탄트리우 자몽 등이 있습니다.
이전에는 미국, 뉴질랜드 등 일부 주요 시장에서도 신선한 베트남산 자몽에 대한 라이선스가 발급되었습니다. 현재 베트남 자몽은 공식적으로 13개국과 지역으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2025년까지 호주의 참여로 이 숫자는 14개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디엔호아빈 자몽 첫 배치 미국 시장 수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