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 대기업, 중국서 '위기'
로이터는 오늘(5월 22일) 미국의 반도체 대기업인 마이크론이 베이징의 사이버보안 검토에서 탈락해 중국의 중요 정보 인프라 사업자(CIIO)에 대한 판매가 금지됐다고 보도했습니다. CIIO는 통신부터 은행, 상수도 회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산업을 포괄합니다.
따라서 중국 사이버보안 관리국(CAC) 산하 사이버보안 평가기구의 결정에 따라 CIIO 산하의 모든 회사와 기업은 마이크론 제품 구매를 중단해야 합니다.
중국의 CIIO 규정은 광범위하며, 국가 안보와 인간의 생명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합니다. 이러한 공공 부문에는 통신 서비스, 에너지, 운송, 수자원 및 금융이 포함됩니다.
이 발표는 CAC가 3월 말 국가 안보 우려를 이유로 마이크론 제품에 대한 조사를 시작한 지 50일 만에 나온 것입니다. CAC의 최신 발표에 따르면, 마이크론 제품은 심각한 사이버보안 위험을 초래하여 중국의 중요 정보 인프라 공급망과 국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초래합니다.
이 결정으로 사실상 중국에서 마이크론 제품 거의 전부의 판매가 금지되어, 2022년 미국 기업의 308억 달러 수익 중 약 11%를 차지할 시장이 사라지게 됩니다.
블룸버그가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마이크론의 중국 주요 고객으로는 레노버, 샤오미, 인스퍼, ZTE, 쿨패드, 중국전자공사, 오포 등이 있습니다.
미국과 마이크론은 중국의 결정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미국, 동맹국들과 러시아로의 프로세서 칩 흐름 차단 추진
지난주 마이크론은 일본의 극자외선(EUVL) 기술에 최대 5,000억 엔(37억 달러)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고정밀이고 현대적인 리소그래피 기술이며, 마이크론은 일본에 첨단 칩 제조 기술을 도입한 최초의 칩 제조업체입니다.
한때 세계 최대의 반도체 제조 기업이었던 일본은 현재 외국 투자를 유치하여 국내 반도체 제조 기반을 재건하려 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론과 삼성은 일본의 투자 기회를 활용하는 칩 대기업입니다.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