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의 새로운 여당 지도자는 완전히 새로운 국가를 약속한 반면, 미국과 유엔은 다마스쿠스 정부를 인정하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더 이상 전쟁은 없다
어제, 야당 단체인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의 지도자 아부 모하메드 알졸라니가 시리아 대통령 바샤르 알 아사드 정부를 전복하기 위한 연합을 이끈 이후 처음으로 서방 언론에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다마스쿠스에서 스카이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알-졸라니는 HTS의 과거에 대한 외부의 의심을 불식시키려 했으며 시리아가 개발, 재건, 안정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들은 전쟁으로 지쳐 있습니다. 국가는 아직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며 또 다른 전쟁에 개입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알-졸라니는 다짐하며, 세계는 "두려워할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야당 세력이 알 아사드 대통령을 전복한 후 시리아의 불확실한 미래
본명이 아흐메드 알-샤라인 이 지도자는 2000년대 이라크에서 미군에 맞서 싸웠습니다. 그의 조직은 한때 시리아의 알카에다 계열이었으며 미국과 다른 많은 국가에서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극단주의 과거와의 관계를 끊고 더 온건해졌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HTS가 단 2주 만에 시리아 전역을 휩쓸면서 쿠르드족, 알라위파, 기독교인 등 시리아 소수 민족 사이에 두려움이 퍼졌습니다. 그러나 알-졸라니 씨는 두려움의 근원은 알-아사드 정부와 그 동맹군에서 비롯된다고 단언하며, "이들을 제거하는 것이 시리아의 해결책"이라고 말했습니다.
12월 11일 수도 다마스쿠스의 시리아 사람들
같은 날, HTS의 지원을 받은 신임 총리 모하마드 알바시르는 이제 국민이 "안정과 평화를 누릴" 때라고 선언하며 2025년 3월까지 과도 정부를 이끌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미국이 신호를 발사하다
알-아사드 정권의 전복은 미국이 시리아에 대한 자국의 이익을 재평가하도록 강요하는 새로운 전환점이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최소한 지난 3명의 대통령 동안 시리아에 대한 명확한 정책을 갖고 있지 않았다고 말한다. 미국은 알 아사드 정권을 비난하지만, 주요 반대 세력에 대한 의심 때문에 그를 축출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지 않았습니다. 시리아에서 미국은 약 900명의 병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쿠르드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최근 시리아를 "엉망진창"이라고 부르며 워싱턴이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AFP에 따르면, 그는 이전에 탈레반과 북한 등 미국의 반대 세력과 협상할 의향이 있었기 때문에 관측통들은 그가 입장을 바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스라엘, 시리아 공습에도 불구하고 새 정부와의 갈등 원하지 않아
미국 국무장관 앤토니 블링컨은 시리아의 미래 정부가 진정으로 신뢰할 수 있고, 포용적이고, 세속적이며, 소수자 권리를 존중하고, 인도적 지원을 허용하며, 테러리스트가 해당 영토를 기지로 사용하는 것을 막는 데 전념한다면 그 정부를 인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유엔은 또한 HTS가 포용적인 정부를 건설하기로 약속한다면 테러리스트 목록에서 제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로이터는 어제 블링컨 국무장관이 12월 13일 앙카라를 방문하여 하칸 피단 터키 외무장관을 만나 시리아 상황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터키가 지원하는 단체와 이슬람 국가(IS)와의 싸움에서 미국의 파트너인 쿠르드족 사이에 여전히 충돌이 일어나고 있다고 보도되었습니다.
이란, 미국과 이스라엘을 시리아 소행으로 비난
한편, 12월 11일, 이란의 최고 지도자 알리 하메네이는 바샤르 알 아사드가 대통령직에서 축출된 이후 시리아에 관한 첫 연설을 하고 러시아로 날아갔습니다.
"시리아에서 일어난 일은 미국과 시오니스트 정권(즉, 이스라엘)의 공동 계획이었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이웃 시리아 정부 또한 이 사건에 분명한 역할을 했습니다. 모두가 이 사건을 알고 있지만, 배후와 지휘부는 미국과 시오니스트 정권에 있습니다." 하메네이는 이란 언론의 보도를 인용하며 명확한 증거를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광고_2]
출처: https://thanhnien.vn/syria-truoc-buoc-ngoat-lich-su-185241211221253047.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