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30일, 쉬옌아롱안 종합병원 심장과장인 응우옌 콩 반(Nguyen Cong Van) 박사는 환자가 급성 하방 심근경색, 심인성 쇼크 합병증, 서맥성 부정맥으로 진단되었다고 밝혔습니다.
그 후 환자의 혈압이 안정되자 즉시 혈관 중재실로 옮겨져 심장 리듬을 유지하기 위한 임시 심장 박동 조절기를 삽입하고 관상 동맥 조영술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환자는 우측 관상동맥 중간 부분이 완전히 막혔습니다. 환자는 혈전 흡인 및 스텐트 삽입에 성공했습니다. 시술 후 환자는 안정을 찾았고, 치료를 시작한 지 5일 만에 퇴원했습니다.
심근경색으로 인해 중태에 빠진 환자
환자의 병력을 살펴보면, 이전에 만성 질환을 앓은 적이 없고, 가끔 짧은 흉통이 있었지만 그 통증이 빨리 지나갔기 때문에 환자가 주관적이었고 병원에 가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번에는 술을 마신 뒤 갑자기 흉통과 함께 피로감, 호흡곤란, 땀흘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 응급실로 이송됐습니다.
응웬 콩 반 박사는 급성 심근경색은 위험한 심혈관 질환으로, 중년층에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으로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 만성 질환을 동반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최근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평균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심혈관 질환은 더 이상 노인의 질병이 아니라 젊은 사람, 심지어 아주 젊은 사람에게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젊은 심근경색 환자 그룹에서는 만성 질환과는 관련이 적지만 과체중, 운동 부족, 스트레스, 담배와 알코올 남용과 더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밴 박사가 공유했습니다.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의사들은 젊은이들이 생활 방식을 조정하고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생활 방식을 갖도록 권고합니다. 신체 운동을 하고,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피하고, 담배와 술을 남용하지 마세요. 특히, 흉통, 호흡곤란, 심계항진 등 심혈관 질환이 의심되는 징후를 주관적으로 무시하지 말고 이상이 있을 때는 즉시 병원을 찾거나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광고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