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는 과학지에 발표된 최근 연구 결과를 인용하며, 1990년대 초반 이래로 전 세계의 대규모 호수와 담수 저수지의 절반 이상이 크게 줄어들었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 과학자들은 위성 측정 결과와 기후 및 수문 모델을 결합하여 약 2,000개의 대형 호수를 평가한 결과, 지속 불가능한 인간의 사용, 강수량, 유출량, 퇴적물의 변화, 기온 상승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호수 수위가 감소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1992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간 동안 53%의 호수가 물 손실 상태에 빠졌습니다.
볼리비아에서 두 번째로 큰 호수인 푸포의 가뭄으로 인해 지역 사회의 생활이 파괴되었습니다. 사진: 로이터 |
유럽과 아시아 사이에 있는 카스피해 지역부터 남미의 티티카카 호수까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담수 자원 중 일부는 지난 30년간 매년 약 220억 톤의 누적 속도로 물을 잃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최대 저수지인 미드 호수의 물량의 약 17배에 해당합니다. 이로 인해 거의 20억 명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지역이 물 부족에 시달렸습니다.
과학자들은 기후 변화의 가장 치명적인 결과, 즉 기온 상승으로 인해 대기로 유실되는 물의 양이 늘어날 수 있는 결과를 피하기 위해서는 인류가 지구 온난화가 섭씨 1.5도를 넘지 않도록 막아야 한다고 오랫동안 경고해 왔습니다. 지구는 현재 약 1.1도 섭씨의 속도로 온난화되고 있습니다. "자연 호수 감소의 56%는 지구 온난화와 인간의 소비 때문입니다. 로이터는 연구팀을 이끈 버지니아 대학(미국)의 수문학자 방팡 야오(Fangfang Yao)의 말을 인용해 "그러나 지구 온난화가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라고 밝혔습니다.
뱅크 안
[광고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