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GPO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을 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아직 제한적이며, 노인을 돌볼 수 있는 의료 시설, 요양원 시스템, 인력이 부족합니다.
11월 10일 하노이 에서 열린 제4회 전국노인의학대회에서 베트남노인의학협회 회장이자 중앙노인의학병원 원장인 응우옌쭝아인(Nguyen Trung Anh) 씨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을 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여전히 제한적이며, 노인을 돌볼 수 있는 의료시설과 인력(의사, 노인간호사, 간병인)이 부족하다고 말했습니다.
게다가 요양원과 사회보호시설의 시스템은 양적, 질적 측면에서 한계가 있습니다. 한편, 노인은 평균적으로 최대 7가지 만성질환을 앓고 있어 젊은층에 비해 의료비와 간병부담이 7~10배 더 높습니다. 노인의 평균 소득은 약 538,000 VND/월에 불과하며, 이는 주로 사회 보장, 연금에서 나오는 수입이고, 노인의 62.79%만이 건강 보험에 가입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노인 의료 및 돌봄 서비스 제공은 아직도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응우옌 중 아인 씨는 의과대학에 노인학과를 조속히 설립하고, 의사, 간호사 및 기타 의료진을 대상으로 노인학 교육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노인 돌봄 인력 양성 노인인력 양성을 위한 국제협력을 촉진합니다. 동시에, 특히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원을 중심으로 요양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집에서 생활하는 노인을 위한 지원 서비스를 다양화하여 노인을 위한 장기요양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베트남은 2011년에 공식적으로 인구 고령화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세계 에서 인구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10개국 중 하나입니다. 2021년 기준으로 이 나라의 노인 인구는 1,250만 명(전체 인구의 12.8%)이었습니다. 2038년이 되면 베트남은 인구 고령화 단계에 접어들어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