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머지 42%는 개인 투자자에게 속하며, BOT 프로젝트가 약 10%를 차지하고, 수입 전기 및 기타 자원이 약 1%를 차지합니다. EVN이 직접 보유하고 있는 전력 생산 용량의 11%는 주로 라이쩌우, 손라, 호아빈, 찌안과 같은 중요한 다목적 수력 발전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나머지 26%는 EVN 산하의 3개 발전 회사(Genco 1, Genco 2, Genco3)에 속합니다. 전기규제청은 이들 기업이 민영화 과정에 있으며, 더 많은 경제 부문이 참여함에 따라 EVN의 지분 비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민간 전력원의 경우, 2012년 이전까지는 민간 소유 비중이 10% 미만이었지만, 현재는 정부 의 인센티브 제도 도입으로 재생에너지가 붐을 이루면서 이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소유주별로 나뉜 규제 구조(출처: EVN)
전기 규제 기관
현재 우리나라의 전력원 구조는 수력발전, 석탄화력발전, 가스화력발전, 석유화력발전, 재생에너지, 수입에너지, 기타에너지 등 전력원 유형별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두 가지 전기원은 여전히 화력 발전과 수력 발전입니다. 2022년 말까지 석탄화력발전 용량은 33%(25,820MW)에 달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력발전은 28%(22,349MW)를 차지합니다. 재생에너지(수력발전 제외)는 26%(20,670MW)를 차지합니다. 가스 발전은 11%(8,977MW)를 차지합니다. 나머지는 다른 출처입니다.
전력 동원 측면에서 2023년 1~9월 총 시스템 출력은 2,099억 kWh에 달해 작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습니다. 이 중 석탄화력발전의 동원률은 972억kWh로 여전히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46.3%를 차지한다. 수력발전은 580억 5천만 kWh로 27.7%를 차지한다. 재생에너지는 291.3억kWh를 동원하여 13.9%를 차지하였으며, 그중 태양광은 204.5억kWh, 풍력은 80.1억kWh를 달성하였습니다. 가스터빈은 208억2천만kWh로 9.9%를 차지했다. 수입 전력은 31억 kWh로 1.5%를 차지했습니다. 석유화력발전은 12억3천만kWh를 동원해 0.6%를 차지했다.
특히, 전력규제청에 따르면 재생에너지원의 설비용량은 약 21,000MW로 시스템 내 3위를 차지하지만, 이 전력원의 특수한 요인으로 인해 동원된 전력 생산량은 전체 시스템 생산량의 약 14%(2023년 9개월 기준)에 불과합니다.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