샴파 미술사학자들은 장식적인 모티브, 특히 식물 모티브를 통해 이 예술 형태의 발전 단계를 어느 정도 파악했습니다.
꽃과 새 모티브
참파 미술사학자 필립 스턴은 고대 스타일인 미선 E1이 참파의 종교 건축과 조각 발전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고려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유물로는 현재 다낭참 조각 박물관의 미선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는 미선 E1 제단이 있습니다.
제단에는 4개 꽃잎의 꽃과 마름모꼴 또는 사각형 모양이 번갈아 가며 장식된 모티브가 있으며, 측면에는 구부러진 가지와 잎이 있는데, 이는 이 고대 스타일의 전형입니다. 이런 장식은 8세기의 미썬, 호아라이(닌투언성)에 있는 참파 사원과 삼보르 프레이 쿠크의 크메르 미술에서 흔히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태국의 드바라바티 미술에서도 나타나며, 8세기에서 11세기까지 이 지역 간의 긴밀한 예술적 관계를 확인시켜 줍니다.
특히 제단의 꽃과 새 모티브는 산에서 금욕을 수행하는 승려들의 일상생활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숲 속에서 명상하는 승려의 이미지는 깨달음과 올바른 길로 이끄는 수행을 뜻하는 힌두교와 불교 전통 예술에서 인기 있는 장식 모티브입니다.
후광과 헌신
동즈엉 불교사원은 탕빈구, 동즈엉 마을에 위치한 참파 불교 건축의 가장 중요한 유물입니다.
고사리 잎이나 기어다니는 벌레와 같은 빽빽하고 꼬인 양식화된 잎 무늬는 동즈엉 스타일(9~10세기)의 전형적인 무늬입니다.
신상은 항상 바닥에 큰 꽃이 세 개, 가운데에 하나, 양옆에 두 개 달린 모자를 쓰고 있는데, 이는 동즈엉 양식의 전형적인 모티브입니다. 신들의 모습에는 활짝 핀 꽃과 잎사귀 장식이 새겨져 있으며, 이는 신도들의 후광과 헌신을 나타냅니다.
동즈엉 스타일은 조각품과 장식적 모티브를 통해 아마도 참파 예술에서 가장 독특하고 강렬한 스타일일 것입니다. 이 시기의 두드러진 특징은 마법적이고 강력하며 위엄 있는 분위기를 강조하며, 당시 왕국의 번영을 어느 정도 반영합니다(필립 스턴).
완벽한 자연주의
고대 트라 키에우 요새는 두이 쑤옌 구, 두이 손 코뮌, 트라 키에우 마을에 위치해 있습니다. 다낭 참 조각 박물관에는 성채 벽의 일부, 사원의 기초, 일부 석조 조각품, 도자기 등의 흔적이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트라 키우의 조각품은 트라 키우 스타일(10세기)을 형성하며 샴파 예술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동즈엉 스타일과 비교했을 때, 이 시기의 예술은 환상을 강조하기보다는 매력, 우아함, 부드러움을 갖춘 완벽한 자연주의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여러 겹으로 쌓은 모자와 작고 장식 없는 겹쳐진 꽃들, 그리고 연꽃을 쥔 손을 모은 인물들이 이 시기의 조각품과 건축물에 흔히 묘사됩니다.
연꽃은 가장 인기 있는 장식 모티브로, 트라 키우 시대의 참파 예술 작품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 꽃은 힌두교에서 불멸의 상징이기 때문에 사원 장식에 자주 사용됩니다. 불교에서는 부처가 연꽃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순수함과 평온함을 상징합니다.
이 시기에는 샴파 사원의 건축 세부 묘사에 린소 장식 모티브가 널리 등장했습니다. 많은 작품에는 동물이 꽃과 잎 뒤에 숨거나, 그 사이에 끼어들거나, 꽃과 잎으로 변신하는 장면이 섬세하게 장식되어 있습니다. 이 특징은 크메르 예술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잘 보여줍니다.
고대 왕국의 종교 건축물은 통치 왕조의 부와 신권 세계와의 관계를 상징했습니다. 사원에 조각된 화려한 꽃 장식은 사실적이면서도 양식화되어 있어, 신들이 지상에 항상 존재한다는 인상을 줍니다. 이러한 패턴은 순수함과 불멸의 상징으로,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꽃을 피웁니다.
이러한 장식 스타일은 광범위한 문화적 스펙트럼을 포괄하지만, 고유한 토착 창의성을 반영합니다. 참파 건축물과 조각품에 나타난 식물 패턴은 한때 이 땅에 살았던 참파족의 세심함, 창의성, 종교적, 자연적 헌신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광고_2]
출처: https://baoquangnam.vn/dau-tich-hoa-co-trong-nghe-thuat-champa-3148309.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