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치민시의 12세 소녀가 3일 동안 가벼운 발열과 두통을 겪었고, 4일째에는 가슴 통증, 구토, 손발 차가움 등의 증상을 보였습니다. 병원에 간 의사는 심근염 합병증이 있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진단했습니다.
9월 3일, 시립 아동 병원 부원장인 응우옌 민 티엔 박사는 아이가 졸린 상태로 병원에 입원했으며, 혈압이 낮고 심장 박동이 불규칙하며 맥박을 감지하기 어렵고 심장 효소 수치가 높다고 밝혔습니다. 심초음파 검사 결과 좌심실 박출률이 22~26%(정상은 60~80%)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사는 급성 심근염, 심인성 쇼크, 부정맥을 진단했습니다. 아기는 호흡을 돕기 위해 기관삽관을 했고, 혈관수축제와 항부정맥제를 투여받았으며, ECMO(체외막산소화) 치료를 받았습니다.
아기에게는 여러 종류의 약이 투여되었지만, 진행 상황은 여전히 복잡했습니다. 심박수가 분당 30~40회로 감소했고, 의사는 심장 박동 조절기를 삽입했습니다. ECMO를 시행한 지 9일 후, 의사들은 심박수, 심근, 혈역학의 비정상적인 변화를 치료하고 간과 신장 기관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인 혈액 여과를 시도하여 아기의 심장이 점진적으로 회복되도록 도왔습니다. 아기는 ECMO에서 떼었고 중환자실에서 지지적 치료를 계속 받았습니다.
"날씨가 불규칙하고, 심근염 합병증으로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라고 의사는 분석했습니다. 심근염은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 근육의 염증 유형으로, 심장 근육 세포를 손상시키고, 심근의 수축성을 감소시켜 순환 붕괴를 초래하고, 심장이 확장되고, 심장 근육이 매우 약하게 수축하며, 손상된 심장 근육 세포가 방출되어 심장 효소가 증가합니다. 이 질병은 초기 증상이 매우 모호하고 감기 등 다른 질병과 쉽게 혼동되기 때문에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심근염은 보통 2~10세 어린이에게 발생합니다. 24개월 미만의 어린이는 저항력이 약해 심각한 질병을 앓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경미한 근염의 경우 자연적으로 해결됩니다. 일부 어린이는 이전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질병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심각하며 사망 위험이 높습니다. 만약 살아남더라도 나중에 심부전이나 부정맥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티엔 의사는 가벼운 발열, 피로, 두통, 구토, 복통, 창백한 안색, 창백한 손과 발, 창백한 손톱, 실신, 흉통 등의 증상이 있는 어린이는 신속히 소아과 전문의가 있는 의료 시설로 데려가 검사를 받고 심근염을 조기에 진단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권고합니다.
바이러스성 질병에 걸린 성인과 어린이의 접촉을 제한하여 질병을 예방하세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어린이용 영양식품. 어린이에게 디프테리아, 독감, 풍진, 볼거리 등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입니다. 학령기 아동은 식사 전과 화장실 사용 후 손을 씻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레 푸옹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