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급 근무일에 대한 임금
노동법 제48조는 노동계약을 해지할 때의 책임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근로계약 종료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양 당사자는 각자의 권리에 관한 모든 금액을 전액 지급할 책임을 집니다.
제48조 제2항은 사용자가 단체협약 및 근로계약에 따라 근로자에게 임금 및 기타 복리후생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기업이나 협동조합이 해산, 해산 또는 파산하는 경우, 이 금액은 우선적으로 지급됩니다.
연차휴가
2019년 노동법 제113조에 따르면, 근로자의 종류와 근무 조건에 따라 한 고용주를 위해 12개월 동안 근무한 근로자는 12~16일의 연차휴가를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2019년 노동법 제113조 3항에 따르면,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고 사직하거나 실직한 경우 또는 연차휴가를 모두 사용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사용하지 않은 연차휴가에 대한 급여를 지급해야 합니다.
따라서 직원들은 급여 외에도 직장을 그만두거나 잃을 경우, 아직 전부 사용하지 않은 연차휴가를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퇴직금
2019년 노동법 제46조에 따라 근로자는 다음 2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퇴직금을 받게 됩니다.
- 2019년 노동법 제34조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9항 및 제10항에 따른 고용계약 종료로 인한 휴직
- 고용주를 위해 12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근무
위의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근로자는 1년 근무 시 1개월치 급여의 절반을 지원받습니다. 다만, 사회보험법의 규정에 따라 연금을 받을 자격이 있는 근로자로서 근로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5일 이상 연속으로 직장을 그만둔 경우는 예외입니다.
특정 퇴직금을 계산하는 방법:
퇴직금 = 퇴직금 계산을 위한 급여 x 1/2 x 급여 계산을 위한 근무시간.
거기에:
- 퇴직금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급여는 근로자가 직장을 잃기 전 근로 계약에 따른 연속 6개월 동안의 평균 급여입니다.
- 퇴직금 계산을 위한 근무시간이란 근로자가 고용주를 위해 실제로 근무한 총 시간에서 실업보험 규정에 따라 근로자가 실업보험에 가입한 시간과 고용주가 실업급여를 지급한 근무시간을 뺀 시간입니다.
실업 급여
2019년 노동법 제47조에 따르면, 직장을 그만둔 근로자는 다음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실업 급여를 받습니다.
- 2019년 노동법 제34조 제11항에 따른 근로계약 종료로 인한 근무 중단
- 해당 고용주를 위해 12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일했습니다.
따라서 위의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근로자는 고용주로부터 실업 수당을 받게 되며, 근무 연수 1년당 1개월치 급여, 최소 2개월치 급여를 받게 됩니다.
구체적으로:
실업 수당 수준 = 수당 계산을 위한 근무 시간 x 수당 계산을 위한 월급.
거기에:
- 복리후생 계산을 위한 근무시간: 근로자가 고용주를 위해 실제로 근무한 총 시간에서 실업보험 규정에 따라 근로자가 실업보험에 참여한 시간과 고용주가 퇴직금을 지급한 근무 시간을 뺀 시간입니다.
- 실업 급여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급여는 근로자가 직장을 잃기 전 근로 계약에 따른 연속 6개월 동안의 평균 급여입니다.
퇴직금과 실업 수당은 둘 다 고용 계약이 종료될 때 12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근무한 직원에게 고용주가 지급하는 혜택이라는 점에서 유사합니다.
그러나 실업 급여는 구조적 또는 기술적 변화나 경제적 이유로 직원이 해고되는 경우에만 고용주가 지급합니다. 분할, 분리, 합병, 통합할 때; 매매, 임대, 사업형태 전환 등 기업 및 협동조합의 자산 소유권 및 사용권 이전.
실업 급여
실업수당은 고용주가 아닌 사회보험기금에서 지급합니다. 하지만 이 돈을 받으려면 직원들은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고용계약 또는 근로계약의 종료
- 근로계약 종료 전 24개월 이내에 12개월 이상 실업보험을 납부한 자,
- 실업급여를 등록하고 고용센터에 급여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 실업보험 신청일로부터 15일이 지나도 취업하지 못한 경우
따라서, 자격을 갖춘 근로자는 2013년 고용법 제50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실업 급여를 받게 됩니다.
월수당 = 실업 전 6개월 연속 사회보험료 납부액 평균 월급 x 60%
2013년 고용법 제50조에 따르면, 실업급여 기간은 실업보험 기여금의 개월 수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12개월에서 36개월 동안 기여할 때마다 3개월 치의 실업 수당을 받게 됩니다. 그 후, 추가 12개월의 기여 기간마다 실업 급여를 한 달 더 받게 되지만, 최대 12개월을 초과할 수는 없습니다.
위에 언급된 5가지 금액 외에도, 직원이 서명한 계약 내용이나 직장을 그만둔 후 금액에 대한 고용주와의 합의에 따라 직원은 해당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민 호아 (t/h)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