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과 높은 주택비용으로 인해 한국의 젊은이들은 결혼과 출산에 대한 관심을 덜 가지게 되었습니다. (출처: 블룸버그) |
한국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의 합계출산율(15~49세 여성이 평생 낳는 평균 자녀 수)은 0.81로 떨어져 경제 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OECD 회원국을 포함한 217개국과 지역 중에서 한국의 출산율은 0.77로 홍콩(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낮습니다. 한국은 1960년부터 2021년까지 출산율 감소율 1위를 차지했으며, 5.95명에서 0.81명으로 86% 감소했습니다.
한국은행 보고서는 이런 추세가 해결책 없이 지속된다면 한국 경제는 2050년까지 마이너스 성장을 경험하게 되고, 국가의 총 인구는 현재 5,100만 명에서 2070년까지 4,000만 명 아래로 떨어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은행은 한국의 출산율이 사상 최저를 기록한 주된 이유로 치열한 경쟁, 취업난, 높은 주택 비용, 아동 안전에 대한 우려의 증가를 꼽았습니다.
한국은행 은 정부가 주택 가격을 낮추고, 도시 집중을 완화하며, 미혼 청년 근로자의 고용률을 다른 OECD 국가 수준으로 높이는 조치를 취하면 한국의 출산율이 0.845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3분기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분기당 0.7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0.1명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는 2009년 이후 올해 3분기 중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