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몇 년 동안 중국은 수에즈 운하를 따라 투자와 무역 활동을 확대해 왔으며, 이를 통해 상당량의 상품을 아시아의 거대 국가에서 서방으로 이동시켰습니다.
그러나 홍해에서 활동하는 후티 반군은 이집트에 대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보호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는 세계 최대 무역 국가인 중국이 직면한 문제입니다.
컨테이너선이 수에즈 운하에 들어가기 전에 홍해를 통과합니다. 사진: 로이터
미국기업연구소(AEI)의 자료에 따르면, 세계은행에 따르면 베이징은 국유기업들이 이집트의 물류, 운송, 에너지 부문에 수천억 달러를 투자하도록 장려했으며, 31억 달러의 대출을 제공했습니다.
이스라엘-하마스 갈등이 발발하기 몇 달 전, 중국 본토와 홍콩의 기업들은 이집트의 중요한 수로를 따라 다양한 프로젝트에 최소 2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습니다.
홍해 수로와 수에즈 운하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한 중국 투자자들에게 이번 공격은 부정적인 인센티브가 될 수 있습니다.
AEI에 따르면, 중국원양해운총공사(COSCO)는 지난 3월 이집트의 항만 인프라에 10억 달러를 투자했습니다. 그러나 1월 7일, COSCO를 비롯한 해운사 Maersk, Hapag-Lloyd, Evergreen 등은 이스라엘로 가는 운항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했습니다.
중국 COSCO Shipping은 2024년 1월 7일부터 이스라엘과의 모든 해상 운송을 중단했습니다. 사진: Yicai
또한 작년 3월, COSCO와 홍콩의 유명 대기업인 CK 허치슨 홀딩스는 홍해 항구인 아인 소크나에 새로운 컨테이너 터미널을 개발하기 위해 추가로 7억 달러를 투자하고, 지중해 항구인 알렉산드리아에 새로운 컨테이너 터미널을 건설하기 위해 B100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같은 달, 중국의 신싱 연성주철관(Xinxing Ductile Iron Pipes)도 아인 소크나 항구에 있는 철강 공장에 2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중국이 아시아, 지중해, 유럽 시장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는 이집트에 상업적 이익을 두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작년 10월, 이집트 수에즈 운하 경제 특구는 중국 국유기업인 차이나 에너지와 67억 5천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소크나 산업특구에서 친환경 암모니아와 친환경 수소 프로젝트를 개발했으며, 홍콩 상장기업인 유나이티드 에너지와도 8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염화칼륨 생산 시설을 설립했습니다.
외교적 압력
이러한 위협은 기업에만 국한되지 않고,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의 일대일로(BRI) 정책도 위험에 빠뜨립니다. 이집트, 예멘, 이란은 모두 이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1월 14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왼쪽)과 사메 쇼크리 이집트 외교부 장관. 사진: 로이터
중국은 과거에도 다른 주권 국가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꾸준히 밝혀왔습니다. 이로 인해 분석가들은 BRI 회원국과 문제가 발생할 경우 중국이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일대일로의 목적은 대륙을 가로지르는 일련의 무역 및 투자 회랑을 건설하여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한다는 것이었는데, 긴장으로 인해 이 목표가 훼손될 경우 딜레마는 더욱 심각해집니다.
로이터에 따르면 베이징은 홍해 문제로 인해 많은 외교적 압박을 받고 있다. 중국 외교부 장관 왕이는 베이징이 세계적인 '핫스팟'을 다루는 데 건설적인 역할을 하기를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일요일(1월 14일), 중국 외교부장 왕이는 카이로에서 이집트 외교부장에게 베이징은 2국가 솔루션의 이행을 포함하여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에 관한 대규모 평화 회담을 지지한다고 말했습니다.
Hoai Phuong (Bloomberg, Reuters에 따르면)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