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표된 계획에 따르면 상하이는 2025년 말까지 1,333헥타르의 완전 자동화된 농장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중국에서는 사물 인터넷(IoT), 빅 데이터, 로봇 공학과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해 인간의 개입을 없애려는 움직임이 확대되면서 자동화 농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상하이의 계획은 올해 말까지 8개 도시에 800헥타르 규모의 스마트 팜을 조성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내년 말까지 나머지 규모를 완료할 예정이다. 무인 농장에는 스마트 트랙터, 파종기, 스마트 살포기, 드론, 콤바인 수확기가 장착됩니다. 중앙 클라우드 플랫폼은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하여 운영을 유지합니다.
성공적이라고 판단될 경우, 이 프로젝트는 시 정부로부터 66.67헥타르당 70만 위안(미화 11만 5천 달러)의 보상을 받게 되며, 현으로부터 추가 보상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상하이의 제안은 인구 14억 명이 넘는 중국에서 식량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농업 시스템을 재편하고 효율성을 높이려는 추세 속에서 나온 것입니다. 무역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베이징은 식량 안보를 우선순위로 삼았습니다.
중국공학원의 농업 엔지니어인 뤄시원은 Outlook Weekly 에 "중국의 현대 농업 비전은 '농부들이 도시에 살고 전문가들이 농사를 짓는 가운데 가축은 은퇴하고 '철소'는 일하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쌀 생산은 지난 70년 동안 3배나 늘었지만, 베이징은 옥수수와 콩 등 다른 식량 작물 생산에서 선진 농업 경제에 뒤처져 있습니다. 당국자들은 두 작물의 수확량이 미국에서 재배되는 양의 약 60%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Luo에 따르면, 농업 항공(농업에서 무인 차량을 사용하는 것) 역시 "표준, 규정, 핵심 연구 및 개발 측면에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고 합니다 . "아직 갈 길이 멀다."
상하이 경제정보화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상하이는 곡물 생산에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토지 이용 효율성을 달성했으며, 2023년에 무당(1무=0.07헥타르)당 평균 534kg을 생산했습니다.
다른 지역에서도 자체 시범 프로그램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헤이룽장성은 2025년까지 대규모 무인 농장 20개를 건설할 계획입니다.
(SCMP, Outlook Weekly에 따르면)
[광고_2]
출처: https://vietnamnet.vn/thuong-hai-muon-chuyen-doi-vung-ngoai-o-thanh-trang-trai-khong-con-nguoi-2314956.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