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다 타키오 주베트남 일본 특명전권대사에 따르면, 일본이 이번에 확대된 G7 정상회의에 베트남을 초대한 이유는 베트남이 일본의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FOIP) 목표를 이행하는 데 중요하고 필요한 파트너이며, 동시에 베트남은 정상회의에서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제 사회의 주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능력과 결의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팜민친(Pham Minh Chinh) 총리.
야마다 타키오 대사에 따르면, ASEAN 회원국 중에서는 2023년 ASEAN 의장국인 인도네시아와 베트남만이 이번 확대 G7 정상회의에 초대되었습니다.
베트남 외에도 브라질, 한국, 호주 등 지역 또는 글로벌 협력 포럼이나 메커니즘의 의장국이 아닌 국가들도 이 확대된 G7 정상회의에 참석하도록 초대되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이는 일본이 베트남과의 협력 관계를 "매우 중시"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줍니다.
이와 함께 일본과 베트남은 지난 2월 일본 총리 기시다 후미오와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응우옌 푸 쫑 간의 고위급 온라인 회의를 통해 현재 양국 간의 광범위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올해 새로운 수준으로 업그레이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 베트남이 G7 정상회의에 참석하도록 초대한 것은 양국 간 파트너십을 새로운 차원으로 격상시키는 데 중요한 이정표이며, 동시에 이 과정을 촉진하는 동력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2022년 베트남과 일본의 총 수출액은 약 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써 일본은 베트남의 4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이 될 것입니다. 이 중 베트남의 대일본 수출액은 약 250억 달러에 이를 것입니다. 베트남은 일본 기업의 공급망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V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