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까지 아시아의 경제 성장률은 미국과 유럽을 넘어설 것이다. (출처: CNN) |
아야 씨는 위의 발언을 설명하면서, 이 지역 최대 경제국인 중국이 2023년 말까지 전반적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등 다른 3대 아시아 경제권도 내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히아 씨에 따르면, 아시아의 경기 회복이 미국과 유럽보다 강력한 이유 중 하나는 다른 두 지역만큼 인플레이션이 "심각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여기에서는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지나치게 긴축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미국과 유럽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는 2022년 6월 9.1%로 정점을 찍은 후 5월 인플레이션이 2년 만에 최저치인 4%로 떨어졌습니다.
2022년 3월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매달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했습니다. 10차례 연속으로 금리를 인상한 후, 최근 6월 14-15일에 열린 정책 회의에서 연준은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에서 어느 정도 희망이 보인다는 이유로 금리를 5-5.2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유럽에서는 유로존 물가상승률이 5월에 6.1%로 떨어져 2022년 2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유럽중앙은행(ECB)은 조치를 중단할 의사를 전혀 보이지 않고 있으며, 현재 이 지역의 금리는 2008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인 3.25%에 달합니다.
하지만 한국, 호주, 인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를 포함한 아시아 중앙은행들은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시아 성장을 뒷받침하는 또 다른 동인은 올해 하반기에 중국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입니다.
아야는 모건 스탠리가 올해 하반기에 중국의 경기 회복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고 2023년 경제 성장률이 5.7%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작년 3%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라고 덧붙였다.
아시아 지역 전체의 전반적인 성장을 뒷받침하는 나라는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이다. 세 나라 모두 국내 수요 회복 주기가 긍정적입니다.
전문가 아히야는 2023년 인도의 성장률이 6.5%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일본은 미국과 유럽이 겪고 있는 심각한 인플레이션 문제도 겪지 않으면서도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있습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