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 트리) - 채용 컨설팅 회사 로버트 월터스가 최근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해외에 거주하는 베트남인의 71%가 향후 5년 이내에 고국으로 돌아와 생활하고 일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특히 이 비율은 인도네시아(60%), 필리핀(62%), 싱가포르(58%) 등 조사 대상인 동남아시아 지역의 다른 3개국보다 상당히 높습니다.
1985년 영국에서 설립되어 현재 27개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채용 컨설팅 회사 인 로버트 월터스가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0%가 경제 상황이 베트남으로 돌아갈지 말지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베트남에 대한 감정적, 사회적, 문화적 애착은 많은 해외 베트남인들이 귀국하는 데 동기를 부여합니다.
세계 경제가 많은 변동에 직면한 상황에서, 국내의 많은 뛰어난 분야가 안정적으로 발전하면서 많은 해외 베트남인들이 고국으로 돌아와 기여하려는 결심을 굳건히 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 조사에서는 해외 베트남인들이 고국으로 귀국하고자 하는 욕구를 높이는 데에는 다른 많은 주요 요인도 지적했습니다.
응답자의 62%는 베트남에 대한 감정적, 사회적, 문화적 애착이 그들이 귀국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습니다. 이 수치는 2021년 마지막 조사보다 13% 증가한 수치입니다.
경제 상황은 해외 베트남인들의 귀국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사진: 후우 코아).
뿐만 아니라, 설문 참여자의 53%는 베트남에서 매력적인 직업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게다가 40%는 베트남에 있는 가족 및 친척을 편리하게 돌보고 더 가까이 있기 위해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답했습니다.
경제 역시 해외 베트남 국민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최대 66%가 베트남 경제의 안정과 발전을 믿는다고 답했으며, 이는 그들이 귀국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합니다.
또한, 베트남에서 사업 투자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더 나은 생활 수준을 누릴 수 있는 기회도 그들이 돌아오는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조사에 따르면, 이 직원 그룹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는 업무, 급여, 복리후생입니다. 급여와 관련해서는 해외 베트남인의 27%가 귀국 시 현재 급여의 30% 이하 감소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한편, 26%는 자신의 경험과 역할, 그리고 전반적인 노동 시장 수준에 걸맞은 급여를 원한다고 답했습니다.
단트리닷컴(Dantri.com.vn)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