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염은 일년 내내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위험한 질병입니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이 질병을 앓는 사람의 수가 늘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걱정스러운 점은 이 질병이 호흡기를 통해 전파될 수 있고 초기 임상 증상이 다른 질병과 쉽게 혼동되어 치료가 어려워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에게도 위험하다는 것입니다.
예방접종은 여전히 질병을 유발합니다
하노이에서 2024년 첫 일본뇌염 사례가 기록되었습니다. 남성 환자(12세, Phuc Tho 군 거주)가 고열, 두통, 목이 뻣뻣하고 걸음걸이가 불안정하여 입원했습니다. 국립어린이병원에서 뇌척수액 검사 결과 일본뇌염 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나왔습니다. 역학 조사 결과, 이 어린이는 일본뇌염 백신을 4회 접종했으며, 마지막 접종은 2019년 6월이었습니다.
국립어린이병원 열대질환센터 중환자실장인 다오 후 남 박사는 일반적으로 생후 2년 이내에 일본뇌염 백신을 3회 접종하고, 16세가 될 때까지 3~5년마다 다시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많은 가족이 주관적이거나 건망증이 있어 추가 예방접종률은 매우 분산적입니다. "일본뇌염에 걸린 대부분의 어린이는 지속적인 고열, 경련, 혼수상태로 매우 심각한 상태로 입원합니다. 늦게 발견하여 치료하면 뇌 손상, 정신 장애, 마비, 언어 장애, 경련, 간질로 이어질 수 있는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라고 Dao Huu Nam 박사는 경고했습니다.
한편, 6월 초순부터 열대병과(푸토성 산부인과 및 소아과 병원)는 수십 명의 어린이 뇌막염 환자를 받았습니다. 현재 발생 건수는 2023년 같은 기간보다 5배나 더 많습니다. 이러한 상황의 이유 중 하나는 덥고 습한 날씨가 불규칙하게 변하여 바이러스와 박테리아가 번성하고 공격하기에 좋은 조건을 만들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의 경우가 그렇습니다.
동시에 호치민시의 제1소아병원에서는 동탑성 거주 9세 일본뇌염 환자를 치료하고 있습니다. 이 아이는 아직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예방접종을 받은 적이 없습니다. 또한 호치민시의 제1소아병원에서도 원인을 알 수 없는 뇌염 환자 4명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제1소아병원 신경감염과장 두 투안 퀴 박사에 따르면, 수확기가 지나서 시골 지역에서 모기가 많이 번식하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뇌염은 집모기(들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질병이므로,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모기 물림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 질병에 걸릴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
최근, 나라우 마을(박칸성, 바베군, 미풍사)에서 한 가족에서 수막구균성 수막염이 발병해 할머니와 손주 2명과 다른 사람 2명이 병원에 입원했습니다. 바베구 의료센터에서 역학 조사를 실시한 결과, 350명 이상의 지역 주민이 해당 사례와 접촉했으며, 엄격한 예방 및 통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염병이 확산될 위험이 매우 높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국립어린이병원 열대질환센터 부소장인 도티엔하이 박사에 따르면, 뇌염과 일본뇌염은 어린아이에게 사망률과 후유증률이 높은 질병입니다. 이 질병은 어느 나이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2~8세 어린이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잠복기는 4~14일이며, 평균 1주일이다. 어린이의 경우, 초기 증상은 복통과 구토인 경우가 많습니다. 첫 1~2일 안에 환자는 목이 뻣뻣해지고, 근육 긴장이 증가하며, 운동 장애가 나타났습니다. 혼란이나 의식 상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염과 일본뇌염은 매우 위험한 질병이지만, 일찍 발견하고 신속하게 치료하면 치료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열, 두통, 피로, 구토, 목이 뻣뻣함, 이명, 광선공포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부모는 즉시 뇌염을 생각하고 아이들을 병원으로 데려가 시기적절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라고 도티엔하이 박사는 강조했습니다.
시립 아동병원 부원장인 응우옌 민 티엔 박사에 따르면, 뇌염의 원인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기생충 등 다양합니다. 이 밖에도 홍역이나 수두 등을 앓은 환자도 뇌염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일본뇌염은 흔한 질병이며 백신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을 했는데도 여전히 아픈 경우, 증상이 가벼워지고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이상적으로는 일본뇌염 백신을 3회 접종한 후 3~5년마다 추가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뇌염을 예방하려면 사람들은 비누로 손을 자주 씻는 등 개인 위생을 잘 실천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코와 목 소독액으로 양치질을 하세요. 영양가 있는 음식을 먹다 운동을 하고, 신체 컨디션을 개선하다; 생활 및 작업 공간에서 양호한 위생과 환기를 실천하십시오. 질병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접종을 실시해야 합니다. 의심되는 질병의 징후를 발견하면 즉시 병원에 가거나 가장 가까운 의료기관에 신고해야 합니다.
의학 전문가에 따르면, 수막구균성 수막염은 24시간 이내에 사망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응급 치료가 필요합니다. 발견 및 치료를 받지 않으면 환자의 50%가 사망하며, 적극적인 치료를 받는 경우에도 사망률이 최대 15%에 달할 수 있습니다.
민캉 - 지아오린
[광고2]
출처: https://www.sggp.org.vn/gia-tang-benh-viem-nao-post745096.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