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DO) - 지구의 "사악한 쌍둥이"에 외계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증거가 새로운 발견을 통해 강화되었습니다.
몇 년 전, 금성의 구름에서 지구의 생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체인 포스핀이 예상치 못하게 발견되어 논란이 일었습니다.
주된 이유 중 하나는 포스핀 신호가 너무 약해서 이후의 일부 관찰에서도 감지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제 과학자 팀은 금성에 포스핀이 존재한다는 것을 그 어느 때보다 더 명확하게 증명했을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잠재적인 "생체적 특징"도 발견했습니다.
금성은 황무한 표면을 감싸고 있는 산성 구름의 바다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지구의 쌍둥이 형제로서 "생명"을 시작했습니다 - 사진: NASA
영국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의 연구팀 멤버인 데이브 클레멘츠 박사에 따르면, 이번에는 미국 하와이에 있는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의 관측 능력을 활용했습니다.
이를 통해 이전 연구보다 140배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었습니다. CNN에 따르면 그들은 다시 포스핀 흔적을 발견했지만 이전보다 훨씬 더 명확해졌다고 한다.
그뿐만 아니라 암모니아 증상도 나타납니다.
토성, 목성과 같은 거대 가스 행성의 대기에 포스핀과 암모니아가 존재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가스 행성에는 수소가 풍부한 대기가 있으므로, 수소 기반 화합물이 자연스럽게 흔합니다.
하지만 지구, 금성, 화성과 같은 암석이 많은 행성에서는 수소 라디칼을 "포착"할 만큼 충분한 산소가 있습니다.
따라서 암석 행성에 포스핀(PH 3 )이나 암모니아(NH 3 )가 존재한다는 것은 잠재적인 생물학적 특징이 됩니다. 이러한 가스는 생물체에서 방출될 수도 있고, 식물과 동물 물질의 분해 결과로 방출될 수도 있습니다.
공동 저자인 영국 카디프 대학의 제인 그리브스 교수는 웨스트버지니아의 그린뱅크 망원경의 추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암모니아 발견을 별도의 과학 논문의 기초로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금성이 실제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행성이라는 가설을 다시 한번 뒷받침합니다.
이 행성은 오랫동안 지구의 쌍둥이 행성으로 여겨져 왔지만, 불행한 행성 진화로 인해 혹독한 온실 효과에 빠져 온도가 매우 높아지고 회전 속도가 매우 느리며 대기가 황산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사악한 쌍둥이"라고 불립니다.
그러나 금성은 여전히 태양계의 골디락스 거주 가능 영역에 있는 행성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금성은 지구에 가장 가까운 행성이기 때문에, 연구하기에 가장 적합한 세계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광고2]
출처: https://nld.com.vn/dau-hieu-moi-ve-sinh-vat-ngoai-hanh-tinh-lo-ra-gan-trai-dat-196240731094231734.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