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 문화, 관습, 개발 수준의 다양성과 정치 제도의 차이로 인해 인권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도 다르고 권리에 대한 해석도 다릅니다. 이러한 모든 요소는 ASEAN 헌장에 명시된 원칙에 따라 지역 내 인권 이행의 효과성을 보장하고 국가 이익을 존중하는 인권 기구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할 것입니다. "다양성 속의 통일이라는 정신으로 공동 가치를 강조하면서 ASEAN 국민의 문화, 언어, 종교의 차이를 존중한다"(제2조).
셋째, 회원국의 내정에 대한 불간섭이라는 ASEAN의 기본 원칙 역시 지역 인권기구의 권한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불가침의 원칙을 위반하지 않고 어떻게 해당 지역의 갈등과 충돌을 해결할 수 있을까? 이 기관의 권한은 어디까지인가? 얼마나 많은 강압이 있었나요? 이러한 문제는 여전히 신중하게 연구되어야 합니다.
넷째, 회원국들의 법체계와 국가기구가 서로 다르고, 완전하지 못하며, 서로간의 균형과 응집력이 부족합니다.
ASEAN에서 인권을 증진하고 보호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과 과제에 직면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이점도 있습니다.
첫째, ASEAN 인권 선언은 시민적, 정치적(14개 권리 포함),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8개 권리 포함) 분야의 인권을 충분히 다루고 있습니다. 동시에 이 선언문은 ASEAN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의 개발권과 평화롭게 살 권리를 확인합니다.
둘째, AICHR의 탄생과 함께 ASEAN 인권 선언에 대한 국가 간 합의는 정치적 승리이며, 각 회원국과 ASEAN 조직 전체가 인권을 증진하고 보호하려는 결의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셋째, 선언문과 AICHR의 활동에 제시된 원칙은 인권을 존중하고 보장하는 데 있어서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와 인권 문제를 이용하여 국가의 내정에 간섭하려는 음모를 예방하는 데 있어서도 긍정적인 조치입니다.
ASEAN 공동체는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공동체라는 포괄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문화-사회 공동체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람들이 개발 기회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평등과 사회 정의를 추구하며, 환경과 세계화, 과학 기술 혁명의 영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구체적인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ASEAN 공동체 전반과 특히 사회문화공동체의 이러한 내용은 ASEAN 국가들이 서로 그리고 블록 외부의 국가들과 협력을 증진하고, 국민을 보호하는 능력을 강화하고, ASEAN 시민의 인권 수준을 개선하고, 조화로운 사회를 함께 발전시켜 ASEAN의 고유한 정체성, 즉 하나의 공동체, 하나의 운명, 다양성 속의 통일을 창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목표이자 유리한 조건입니다.
-------------------------
수행자: 대사, Luan Thuy Duong 박사, 디자인: Hong Nga, 사진 출처: VNA, VGP…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