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옹 쿠옹 대통령은 제31회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경제 지도자 회의에 참석하여 연설했습니다.

베트남 통신의 특별 통신원에 따르면, 현지 시각으로 11월 16일 오전, 페루 리마에서 루옹 쿠옹 대통령이 제31회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경제 지도자 회의에 참석했습니다.
이번 회의에는 21개 회원국의 정상과 대표단장이 참석하였고, 초대 손님으로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참석하였습니다.
주제는 "역량 강화"입니다. 씌우다. 성장”이라는 슬로건 하에 정상회담은 모든 사람이 지속 가능하고 포괄적인 경제 성장에 참여하고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개방적이고 역동적이며 회복력 있고 평화로운 아시아 태평양 공동체라는 푸트라자야 비전 2040을 실현하겠다는 결의를 확인했습니다.
또한 회의에서는 자발성, 비구속성, 합의와 같은 기본 원칙에 따라 APEC을 역동적이고 자립적인 협력 포럼으로 유지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삼는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IMF 총재는 세계 경제 상황에 대해 공유하면서, 인플레이션이 감소하고 APEC 경제권의 성장률이 세계 평균보다 높은 등 긍정적인 신호들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세계 경제 성장은 둔화되고 있으며, 분열과 보호주의 증가를 포함한 여러 이유로 무역은 더 이상 세계 성장을 견인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APEC 지도자들은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차별 없고, 투명한 무역 및 투자 환경을 계속 구축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현재의 경제 및 무역 과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세계무역기구(WTO) 개혁 노력을 지원합니다.
정상들은 APEC 경제권의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력을 촉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지역 전체의 디지털 혁신, 디지털 인프라 및 디지털 기술 개발, 전자 상거래 활성화 기후 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동시에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여성과 취약 계층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통해 개발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회의에서 루옹 꾸옹 대통령은 현재 세계 경제 상황의 세 가지 주요 대조점을 지적했습니다. 지정학적 긴장과 거시경제적 불안정성이 세계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여전히 세계의 기관차이자 성장 엔진입니다. 보호무역주의, 분열,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지만, 경제적 협력과 통합에 대한 필요성은 여전히 매우 높습니다. 개발 격차와 글로벌 환경 문제는 여전히 최대의 과제이지만, 획기적인 기술 개발, 디지털 전환 추세, 녹색 전환은 점점 더 심오하고 포괄적이 되어 많은 창의적인 솔루션과 협력 기회를 가져다주고 있습니다.
APEC이 도전에 맞서 굳건히 서서 효과적으로 기회를 잡기 위해 대통령은 앞으로 APEC에 대한 세 가지 주요 협력 방향을 제안했습니다.
첫째, 무역 및 투자 자유화를 지속적으로 촉진하고, 규칙에 기반한 다자간 무역 체제를 강화합니다. 원활한 경제적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합니다. 국경을 넘는 자금, 기술, 지식, 노동력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합니다. 회복성 있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을 형성하고 개발합니다.
둘째, 포용적 성장과 포용적 기술에 대한 협력 프로그램과 이니셔티브를 장려합니다. 디지털 혁신과 녹색 혁신의 중심에 사람을 둡니다.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솔루션을 우선시하고, 멀리 떨어진 지역의 소외된 지역 사회가 디지털 기술과 혁신의 성과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녹색 인프라와 디지털 인프라에 많은 투자를 하고, 특히 기후 변화와 같은 글로벌 이슈를 다루기 위해 새로운 기술 응용 프로그램을 공유하는 데 협력합니다.
셋째, 제도적 역량과 글로벌 거버넌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합니다. APEC 기관의 구조적 개혁을 촉진하고, 효율화, 역동성, 적응성, 적극성,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 준비성을 갖춰 완벽한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합니다. APEC 협력의 주체, 목표, 중심인 기업과 사람들의 광범위한 참여와 기여를 장려합니다.
대통령은 또한 베트남이 2027년 APEC 의장국이자 2026~2030년 APEC 구조개혁 의제 개발 그룹의 일원으로서 APEC 협력의 방향과 비전을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효과적으로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확언했습니다.
토론 후, 회의에서는 APEC 정상 공동성명과 주최국 페루의 두 가지 대표적인 이니셔티브를 만장일치로 채택했습니다. 여기에는 공식적이고 글로벌한 경제로의 전환 촉진을 위한 로드맵과 아시아 태평양 자유무역지대(FTAAP)에 대한 새로운 비전에 대한 성명이 포함됩니다. 또한 두 정상은 한국이 2025년 APEC을 개최하는 것을 환영했으며, 중국이 2026년 APEC을 개최하는 것을, 그리고 베트남이 2027년 APEC을 개최하는 것을 환영했습니다.
11월 16일 오후(현지 시간), 루옹 꾸엉 대통령과 베트남 고위 대표단은 리마의 호르헤 차베스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귀국하며, APEC 2024 정상회의 주간에 참석하고 칠레 공화국과 페루 공화국을 공식 방문하는 업무 방문을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