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확인한 가장 최근의 일본뇌염 사례는 하노이의 추옹미 구에 사는 8세 소년입니다.
이 어린이 환자는 9월 18일에 고열, 경련, 구토, 졸음 등의 증상을 보였으며, 9월 19일에 국립어린이병원으로 이송되었습니다. 9월 29일에 실시한 검사 결과, 이 소년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양성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전에 하노이에서는 푸크토 지역의 5세 소년이 일본뇌염에 걸린 첫 번째 사례가 기록되었습니다.
빨간집모기는 어린아이에게 흔한 질병인 일본뇌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전파합니다.
올해 초부터 하노이에서는 일본뇌염 사례가 2건 발생했습니다(2022년 같은 기간에 비해 50% 감소).
예방의학부( 보건부 )에 따르면 베트남에서는 일본뇌염이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으며, 특히 북부 삼각주와 중부 지방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이런 질병의 발생은 주로 쌀과 돼지 사육을 병행하는 지역이나 과일을 재배하고 돼지를 키우는 내륙 및 반산악 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가축에서 발생합니다. 모기는 바이러스를 보유한 동물을 물고, 그 후 사람을 물어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전파합니다.
사람과 가까운 동물의 가장 중요한 감염원은 돼지입니다. 돼지는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고 많은 가정에서 사육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소, 소, 염소, 양 등 다른 가축도 바이러스의 숙주가 될 수 있습니다.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모기는 Culex 모기(Aedes aegypti 모기, 뎅기열을 전파하는 Aedes 모기라고도 함)이며 해질녘에 활동합니다. 이 모기는 평야와 내륙지방에 밀도가 높고, 우리나라에서는 일본뇌염의 주요 매개체입니다.
모기는 종종 황혼 무렵에 날아와 동물이나 사람의 피를 빨아먹습니다. 모기는 더운 우기에 많이 번식하고 번식합니다.
일본뇌염은 어느 연령대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2~8세 어린이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이 질병은 어린아이에게 높은 사망률과 후유증을 초래하는 급성적이고 위험한 질병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25~35%). 이러한 후유증으로 인해 환자는 의사소통 능력이 감소하고 업무 수행 능력이 감소하거나 상실됩니다.
아이가 발열, 두통, 메스꺼움, 특히 경련과 의식 장애 등의 의심스러운 증상을 보일 경우, 사망이나 후유증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기 발견과 시기적절한 치료를 위해 가장 가까운 의료기관 으로 데려가야 합니다.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