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tnam.vn - Nền tảng quảng bá Việt Nam

2030년까지 국가개발목표 실현을 위한 자원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제13차 전국당대회 결의에 따른 국제적 맥락과 제기된 문제들

Việt NamViệt Nam15/05/2024

정치국 위원이자 총리인 Pham Minh Chinh가 2023년 베트남 국제 혁신 전시회에 전시된 기술 제품을 방문했습니다. 출처: vietnamplus.vn

2030년까지의 국제적 맥락

국제적 맥락은 종종 지역적, 세계적 상황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정세란 특정 시점과 단계에서의 전반적인 그림이며 주요 요소를 포함합니다. 1- 주요 국가와 주요 강대국 간의 세력균형과 관계의 발전 추세. 2- 국가 간 관계 및 세력 결집의 추세 3- 보안 및 개발 분야의 주요 동향, 뛰어난 문제점.

첫째, 주요 국가와 주요 강대국 간의 세력균형과 관계의 발전 추세입니다. 주요 국가와 주요 강대국에는 세계의 발전 추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와 국가 그룹이 포함됩니다. 그룹 1에는 미국, 중국, 러시아, 유럽연합(EU)이 포함됩니다. 2그룹에는 영국, 프랑스, ​​인도, 일본, 독일이 포함됩니다. 한국, 캐나다,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멕시코 등의 국가는 신흥국이며, 이들의 영향력은 대체로 지역적인 수준에 그칩니다.

국가의 강점은 종종 다음과 같은 요소로 측정됩니다. 1- 하드 파워: 경제적 강점(국내총생산-GDP), 과학기술적 잠재력; 방위력(군사력, 국방비, 방위산업, 동맹네트워크 등) 2- 소프트 파워(모델의 매력도, 가치 체계, 파트너의 수, 지위, 세상에서의 영향력 등) 3- 스마트 파워(국가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권력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정책의 정확성과 정책 실행의 효과성, 위기에 대한 조정 및 대응 능력 등).

세계 경제 전망과 관련해 세계은행(WB)은 2023년 3월 27일, 2022~2030년 기간의 세계 경제 성장률이 연평균 2.2%로 3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11~2021년 기간의 2.6%, 2000~2010년 기간의 3.5%보다 약 33% 낮은 수치다(1). 일부 학자들은 지금부터 2030년까지 중국의 경제는 약 5% 성장하고, 미국의 경제는 약 2% 성장할 것이며, 늦어도 2035년에는 중국의 경제가 미국의 경제를 앞지를 것으로 예측합니다. 다른 많은 예측에 따르면 2030년경 중국은 GDP(2)에서 미국을 앞지르고 세계 GDP의 약 1/4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1인당 GDP에서 미국을 따라잡으려면 수십 년이 더 걸릴 것입니다. 동시에 2025년~2027년 사이에 인도는 일본과 독일을 제치고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경제 대국이 될 것입니다. 특히, 세계은행(WB),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에 따르면 2030년이 되면 미국, 중국 등 주요국과의 GDP 격차가 매우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과 중국의 GDP는 약 30조 달러이고, 인도, 일본, 독일의 GDP는 약 6조 달러에서 9조 달러에 불과하여, 두 주요 국가의 GDP의 약 1/3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군사 측면에서 미국은 2023년에 9,160억 달러를 지출했고 중국은 2,960억 달러를 지출했습니다. 일부 예측에 따르면 중국의 군사 예산은 매년 약 5~7%씩 증가하여 2030년에는 약 5,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3), 현재 속도대로 계속 증가한다면 미국의 군사 지출은 머지않아 1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주요 국가 간의 군사 예산 격차는 다른 주요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GDP 차이보다 훨씬 큽니다. 2030년까지 인도의 군사 지출은 약 1,830억 달러, 러시아의 군사 지출은 약 1,230억 달러로 예상됩니다(4). 군사력에 관해서 이 문제는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실제적인 힘, 특히 정예 수준, 기술, 공학, 전술, 전략 등의 효율성 수준은 전쟁에서만 명확하게 입증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동맹국 네트워크와 군사기지 네트워크 등을 전력의 일부로 고려한다면 미국은 중국, 러시아 등 주요국에 비해 우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미국은 80개국에 약 750개의 군사기지를 두고 있다(5). 중국은 지부티에 군사기지를 두고 있으며, 아프리카, 걸프, 남태평양에 약 20개의 군사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다(6).

소프트파워 측면에서 볼 때, 2030년까지 미국은 개발 이론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국가로 남을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의 교육 시스템, 특히 고등 교육 시스템은 매우 매력적입니다. 중국은 문화, 교육, 연구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해왔고 앞으로도 계속할 것이지만, 이 면에서 미국을 따라잡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소프트 파워가 인재 매력도로 측정된다면, 미국은 유럽과 일본을 포함한 선진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에서 인재를 끌어모아 왔습니다. 재능 있는 이민자들은 미국 노동력에 고품질 인력을 공급하는 원천이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이를 통해 미국은 2030년까지 중국과 다른 주요 국가들이 직면하게 될 인구 고령화 위험을 피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다자간 제도 시스템도 미국의 소프트 파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최근 들어 다자간 시스템은 점점 더 많은 도전을 받고 있지만, 국제 사회의 대부분 국가는 여전히 다자간 시스템을 존중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여전히 ​​대부분의 세계적, 지역적 다자간 메커니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다자간 기구에 접근하고 대표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노력할 것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수십 년 동안은 미국과 동등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여전히 어려울 것입니다.

스마트 파워에 관해,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인 시진핑과 정치국 상무위원회에 권력을 집중시키는 리더십 모델은 중앙집권적 지휘, 자원 동원, 신속한 의사결정에 큰 이점을 제공하지만, 특히 주요 직책이 앞으로 신뢰와 건강에 문제에 직면하게 되면 다차원적 관점이 부족해 위험도 초래할 수 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미국의 "견제와 균형" 모델은 빠른 의사 결정을 허용하지 않지만 잘못된 의사 결정의 위험을 줄여주며, 현 정부가 제대로 된 성과를 내지 못할 경우 4년 후에 질서 있게 새 정부로 교체됩니다.

2023년 11월 15일 샌프란시스코(미국)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사무총장 겸 국가주석이 함께 있는 모습 _출처: 게티이미지

주요 국가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2030년까지 미국과 중국은 여전히 ​​주도적인 관계 쌍으로, 다른 국가들의 관계보다 우위를 차지할 것입니다. 미국-러시아, EU-러시아 관계는 계속 긴장될 것이다. 많은 경우, 세계는 두 개의 선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미국과 서방은 한쪽에 있고, 중국과 러시아는 다른 쪽에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에 대한 유엔 총회 투표 결과는 국제법에 따른 세계 질서와 관련된 문제에서 대부분 국가가 공개적으로 미국과 서방을 지지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현재의 세계적, 지역적 질서가 점차 도전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중국-러시아 삼각관계는 더 이상 명확하지 않습니다. 러시아의 전반적인 힘이 약화되는 조짐이 보이기 때문입니다(미국과 서방의 러시아에 대한 제재와 우크라이나 갈등으로 인해). 그러나 러시아는 경제적 자립,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지위, 현대 군사 기술과 6,000개의 핵탄두를 보유한 덕분에 여전히 일정 수준의 독립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관계는 여전히 협력적이지만, 긴장이 지배적인 추세입니다. 미국 의회와 국민들은 중국을 "구조적" 경쟁자로 여긴다. 2025년 미국이 어떤 정권으로 집권하든 미국의 대중 정책은 기본적으로 "가능하면 협력, 필요하면 경쟁, 강요되면 대결"이 될 것이다(7).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 및 기술 전쟁을 계속할 것이다. 2030년까지 미국의 목표는 중국의 '부상'을 통제하고, 중국이 이 지역의 현상유지를 깨는 것을 방지하며, 미국과 동맹국이 정한 '게임의 규칙'을 어기는 것입니다. 중국은 개발 전략을 조정하고, 성장 모델을 혁신하고,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기술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호주 전략정책연구소는 중국이 인공지능(AI)과 5G 기술 등 37/44개 첨단기술 분야에서 앞서가는 반면, 미국은 백신 생산, 양자컴퓨팅, 우주발사시스템 등 일부 분야에서만 앞서고 있다고 미국과 서방에 경고한 바 있다(8). 미국은 중국을 통제하기 위해 '파이브 아이즈' 그룹(FVEY)(9)과의 정보 협력을 포함한 포괄적인 5-4-3-2-1 전략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Quad" 그룹과 보안 조치를 조정합니다. 미국, 영국, 호주 간의 3자 안보 협력(AUKUS) 중국과의 양자관계를 통제하고 인도-태평양 전략을 추진하기 위한 조치를 시행합니다. 동시에 일본, 한국, 대만(중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중국의 하이엔드 칩 개발을 방지합니다. 이에 대한 보답으로 중국은 세계개발구상(GDI), 인류공동운명공동체, 세계안보구상(GSI) 등 3가지 전략을 추진하며 중동,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남아시아, 남태평양에서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러시아, 이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 말리, 우간다 등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둘째, 중소·중견국 간의 관계 및 세력 결집 추세입니다. 경쟁이 치열해지면 대국, 특히 미국과 중국은 압력을 가하고 중소 규모 국가들을 이용하려 할 것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특별 군사 작전'을 개시한 이후, 각국의 행동은 세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그룹은 규칙 기반의 국제 질서를 지지하고, 서방과 가깝고, 중국과 러시아의 영향력에 관심이 없는 국가들입니다. 이 그룹에는 서방 국가들 외에도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의 약 60개국이 있으며, 이들은 비동맹운동회의에서 우크라이나 분쟁에서 러시아를 규탄하고 동해 문제에서 중국을 지지하지 않는 데 투표했습니다. 두 번째 그룹에는 중국과 러시아를 지원하는 국가들이 포함됩니다. 이 그룹에는 우크라이나 지방에 대한 러시아의 합병을 지지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시리아, 벨라루스, 니카라과 외에도 파키스탄, 우간다, 짐바브웨, 말리 등 비동맹운동회의에서 동해 문제에서 항상 중국을 지지하는 여러 국가가 포함됩니다. 세 번째 그룹은 중립국으로 30~40개국이 포함됩니다. 2030년이 되어도 중소 규모 국가들은 여전히 ​​이러한 추세를 지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부분은 강대국 간의 경쟁에 휘말리는 것을 피합니다.

셋째, 주요 동향, 보안 및 개발 분야의 새로운 문제입니다. 제4차 산업혁명(산업혁명 4.0)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인간 삶의 모든 측면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국제관계에서 4차 산업혁명은 국가 간 경쟁과 경쟁 수준을 높이고, 부유국과 빈곤국 간의 양극화를 심화시킵니다. 미국과 중국의 지정학적 경쟁과 함께; 미국, 서방-중국, 러시아, 4차 산업혁명은 국가 간 또는 국가 집단 간의 분열과 분열, 특히 디지털 분열의 추세를 심화시켜 세계와 지역 상황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세계화는 속도, 방법, 영역 등에서 이전 단계와 차이를 보이면서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둔화는 주요 국가 간의 갈등,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 제4차 산업혁명 등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운송 및 물질적 이동과 관련된 방법과 분야가 쇠퇴하고 비물질적 방법과 분야로 자리를 내주고 있습니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영국)의 2021년 전망에 따르면 2030년까지 글로벌 무역 규모는 70% 이상 증가해 3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10). 국제 투자는 이전에 비해 감소할 수 있으며, 글로벌 생산 및 공급망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녹색 및 디지털 분야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재구조화될 수 있습니다(11).

국제관계의 민주화 추세는 강대국 간의 정치와 경쟁에 의해 더욱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과제는 대다수 국가 사이에서 다자주의, 다자 체제, 다자 외교의 중요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높이는 것입니다. 소규모 및 중규모 국가들은 국가 이익을 보호하는 데 있어 국제법의 역할을 점점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2030년까지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는 많은 국가, 특히 대규모 부유국으로부터의 정치적 지원과 자원 기여 부족으로 인해 달성될 가능성이 낮습니다. 그러나 기후 변화로 인한 위험에 직면한 국가들의 본질적 요구와 환경 보호와 관련된 무역 기준을 통해 선진국, 특히 EU 국가들이 부과하는 규제로 인해 녹색 개발이 지배적인 추세가 될 것입니다(12).

러시아-우크라이나, 하마스-이스라엘 갈등의 영향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군비 증강 추세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지역에서는 국가 간, 특히 대국과 소국 간에 지역 갈등이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평화, 협력, 개발이 여전히 지배적인 추세입니다. 인류가 개발에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요 강대국 간의 전쟁이 발생할 가능성은 적고, 지역 갈등이 대규모 전쟁으로 번질 가능성도 적습니다.

비전통적 안보 문제, 특히 조직범죄, 해상 안보, 사이버 보안은 주요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관심과 협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문제는 국제 및 지역 다자간 포럼에서 여전히 중요한 주제로 남아 있습니다. 대부분 국가, 특히 소규모 섬나라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이를 안보적 문제로 여긴다. 주요 국가, 특히 중국, 러시아, 미국은 기후 변화를 안보 문제로 여기지 않고 대응을 위한 협력에 더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넷째, 아시아태평양 지역,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여전히 ​​세계의 성장 중심지입니다. 일부 예측에 따르면, 2030년까지 세계 3대 경제대국(중국), 3위 경제대국(인도), 4위 경제대국(일본)이 있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글로벌 GDP의 52.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13). 이는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경쟁의 영역이기도 합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은 미중 경쟁으로 인해 점점 더 큰 압박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ASEAN은 회원국들 사이에서 주요 강대국 간의 경쟁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ASEAN은 미국과 중국이 관련된 공통 문제에 대해서는 단결할 것이지만, 한 국가(미국이나 중국)가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는 공통 입장을 취하는 것은 어려울 것입니다. 이러한 과제는 2030년까지 ASEAN이 직면한 내부 과제입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동남아시아는 여전히 평화로운 환경, 경제 성장, 그리고 지역적 연결성의 향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향후 5~10년간 베트남의 기회와 도전

지역적, 세계적 상황은 국가마다 다른 수준과 다른 분야에 영향을 미칩니다. 전쟁이나 전염병이 발생하더라도 많은 국가는 여전히 개발의 기회를 찾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베트남의 관점에서 볼 때, 30개 전략적 파트너와 포괄적 파트너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국가의 지위와 힘이 커짐에 따라 베트남은 세계와 지역 상황의 영향에 맞서 "따뜻한 내부, 평화로운 외부"를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필요한 조건은 자립심과 유연한 조정 능력, 외부 충격을 견뎌낼 수 있는 능력, 충격 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베트남은 "따뜻한 내면, 평화로운 외부"를 유지함으로써 외국인 직접 투자(FDI)를 유치하고, 성장 모델을 전환하고, 디지털 전환, 녹색 전환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산업화 국가의 기본 기준을 달성하는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도전은 이전 기간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베트남은 세계 경제 발전이 둔화되는 상황에서 국가의 산업화와 현대화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세계는 분열되고 파편화되었다. 이전 기간에 비해 세계화가 둔화되었습니다. 이는 베트남이 주의해야 할 많은 문제를 제기합니다.

첫째, 평화, 협력, 개발이 앞으로도 주요 추세가 될 것인가? 향후 10년간의 국제적 상황을 보면 이러한 추세는 단기적, 장기적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평화와 협력은 여전히 ​​지배적인 추세이므로 베트남이 30개 주요 파트너의 네트워크 체계를 유지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이는 여전히 베트남의 주요 추세가 되어 베트남이 "사회 경제적 발전이 중심 과제입니다. 당 건설이 핵심입니다. 문화 발전이 정신적 기초입니다. 국방과 안보를 보장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정기적입니다."(14)라는 관점을 계속해서 성공적으로 이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둘째, 세계화는 전반적으로 둔화되고 있는가? 그리고 앞으로 둔화될 것인가? 대기업들이 장기적으로 베트남에 투자하고 17개 자유무역협정(FTA)의 혜택을 실현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관점에서 세계화를 살펴보면, 베트남은 여전히 ​​세계화로부터 많은 기회를 얻고 있으며, FDI와 기술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고 있으며, 특히 30개 이상의 전략적, 포괄적 파트너와의 무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셋째, 산업혁명 4.0은 베트남에 세 가지 주요 과제를 안겨줍니다. 1- 베트남 기업은 생산능력과 준비성이 부족하여 글로벌 생산 및 공급망에 참여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2- FDI 유치 기회가 과거에 비해 감소할 수 있습니다. 3- 베트남 노동력은 로봇에 의한 일자리 대체와 소비 시장에 더 가까운 투자로 인해 영향을 받고 있으며, 점점 더 단순화되는 업무로 인해 학습 기회가 줄어듭니다. 그러나 산업혁명 4.0은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새로운 유형의 일자리를 늘리며, 베트남과 같이 후발주자에게 "따라잡고 따라잡을"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합니다.

넷째, 주요국간의 관계에 대하여. 향후 5~10년 동안 주요 국가들은 여전히 ​​협력하겠지만 경쟁하고, 심지어 대립하며, 특히 지정학, 안보-군사, 과학기술 등의 문제에서 지난 5~10년보다 훨씬 더 긴장될 것입니다.러시아와 관련하여,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이후 미국과 서방 국가들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포함한 러시아 기관 및 개인에게 18,069건 이상의 새로운 제재를 부과했습니다(15). 중국에 대한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은 “필요하면 경쟁하고, 가능하면 협력하고, 강요되면 맞서는 것”이다(16). 미국의 공화당과 민주당은 모두 중국을 경쟁자로 보는 데 동의합니다. 한편,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도 미국 대통령 J. 바이든과 미 행정부 및 의회의 주요 인사 대부분에게 제재를 가했다(17). 마찬가지로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시진핑 총서기 겸 국가주석은 패권주의에 반대하며 “큰 파도와 강풍, 심지어 위험한 폭풍에도 맞설 준비가 되어 있다”고 선언했습니다(18). 어려운 관점에서 보면, 주요 국가 간의 경쟁, 특히 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은 베트남이 각 국가와 관계를 증진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베트남이 통합해 온 다자간 접근 방식과 다자간 조직을 약화시켰습니다.

세계 경제는 이전 기간보다 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 무역과 투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았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하마스-이스라엘 갈등으로 인해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동시에, 글로벌 생산 및 유통 체인은 혼란에 빠졌고, 계속해서 혼란에 빠지고 있으며, 복구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주요국들이 관계를 조정할 가능성은 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하마스-이스라엘 갈등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앞으로도 수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무역 증대, FDI 유치, 성장 모델 전환 등 베트남의 통합 목표도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현대케피코베트남(한국투자)의 하이즈엉성 다이안2산업단지 내 스마트 친환경 센서 제품 생산라인 _출처: vietnamplus.vn

2030년까지 개발 목표 달성을 위한 자원 동원 및 효과적인 활용에 대한 문제 제기

2030년까지 산업국가의 기본 기준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베트남은 다음과 같은 핵심 과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하나는 외부에서 기술의 동원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 베트남은 다음을 통해 기술을 동원할 수 있습니다. 1. 외국 파트너와 협력하는 과정에서 경험을 교환하고 학습하고, 생산 체인에 참여하여 기술 파급 효과를 활용합니다. 2- 파트너로부터 기술을 구매하세요. 3- 유엔, 다자기구의 이전 프로그램... 예를 들어, 교류 채널을 잘 활용하고, 외국 파트너와 협력하는 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배우고, 제도적 개발, 인적 자원, 인프라를 포함한 포괄적인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베트남 기업이 FDI 기업, 특히 선도적인 기술 기업과 신속하게 연결되고 FDI 기업의 생산 체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분열된 세계 속에서 미국과 같은 기술 선진국들은 '온 쇼링(on-shoring)' 또는 '미국 친구에 투자(friend shoring)'하는 전략을 추구합니다. 베트남은 파트너들로부터 전략적 신뢰를 구축해야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파트너들이 첨단기술에 투자하거나 첨단기술을 베트남에 판매하게 됩니다. 그러나 파트너로부터 전략적 신뢰를 얻으려면 베트남도 정치, 외교, 필요한 분야의 역량을 보장하고 강화하기 위한 메커니즘 등 많은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둘째,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세요. 현재 베트남의 노동 생산성, 제품 1단위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 자본 효율성 등의 지표는 ASEAN-4 국가(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도전이지만, 베트남이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여지도 됩니다. 1960~1970년대에 한국과 대만(중국)은 산업화를 위한 인적자원의 질과 인적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개발을 위한 재정자본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국제협력을 성공적으로 이루었습니다. 한국과 대만(중국)이 시행한 방식은 제도적 개혁에 집중하여 제도적 개혁 과정의 핵심 단계에 외부에서 우수한 인적 자원을 투입하는 것이었습니다. 제도적 질은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신흥 산업화 국가들을 구분하는 주요 요인입니다. 2030년까지 베트남은 제도, 인프라, 인적 자원의 세 가지 획기적인 발전을 추진하고자 노력하는데, 특히 제도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베트남은 산업화 국가로의 '도약'이라는 결정적인 단계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가 예측할 수 없는 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 시기에 베트남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베트남의 입장과 힘은 다릅니다. 창의적인 개발 전략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그리고 40년 가까이 혁신을 통해 쌓아온 외교 관계 기반을 갖춘다면 베트남은 반드시 훌륭하게 '이륙'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험은 자립, 자원의 효과적인 활용, 제도적 개선과 과학기술의 발전이 성공의 "열쇠"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부교수 DANG DINH QUY 박사

외교 아카데미

---------------------------

* 본 논문은 Project KX.04.08/21-25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참조: “세계 경제의 '속도 제한' 3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질 듯”, 세계은행, 2023년 3월 27일, https://www.worldbank.org/en/news/press-release/2023/03/27/global-economy-s-speed-limit-set-to-fall-to-three-decade-low
(2) 참조: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과 미국의 현재 가격 기준 국내총생산(GDP) 및 2035년까지의 예측”, Statista, 2023,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1070632/gross-domestic-product-gdp-china-us/
(3) 참조: “2022년 전 세계 군사비 지출이 가장 높은 국가”, Statista, 2023), Statista, 2023,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262742/countries-with-the-highest-military-spending/
(4) 참조: “2022년 불변가격(2030년) 국방부문 구매력평가에 따른 추산 군사비 지출 예측”, Lowy Institute Asia Power Index, 2023, https://power.lowyinstitute.org/data/future-resources/defence-resources-2030/military-expenditure-forecast-2030/
(5) 에버렛 블레드소: “세계에는 몇 개의 미군 기지가 있습니까?” (세계에는 몇 개의 미군 기지가 있을까?), 솔저스 프로젝트, 2023년 10월 1일, https://www.thesoldiersproject.org/how-many-us-military-bases-are-there-in-the-world/#:~:text=the%20United%20States%3F-,United%20States%20Military%20Bases%20Worldwide,as%20all%20other%20countries%20combined
(6) 참조: “중국, 군사기지 건설에 고군분투”, The Economic Times, 2021년 12월 14일, https://economictimes.indiatimes.com//news/defence/china-is-struggling-to-establish-military-bases/articleshow/88268005.cms?utm_source=contentofinterest&utm_medium=text&utm_campaign=cppst https://economictimes.indiatimes.com/news/defence/china-is-struggling-to-establish-military-bases/articleshow/88268005.cms
(7) 정리: “바이든의 중국 전략: 연합 주도 경쟁인가, 냉전식 대결인가?” (바이든의 중국 전략: 연합 주도 경쟁인가, 냉전 스타일의 대립인가?), 브루킹스 연구소, 2021년 5월, https://www.brookings.edu/research/bidens-china-strategy-coalition-driven-competition-or-cold-war-style-confrontation/
(8) 다니엘 허스트: "중국, 몇몇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기술 경쟁에서 미국을 앞서고 있다", The Guardian, 2023년 3월,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3/mar/02/china-leading-us-in-technology-race-in-all-but-a-few-fields-thinktank-finds
(9)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포함
(10) “2030년 무역의 미래: 주목해야 할 추세와 시장”, Standard Chartered, 2023, https://av.sc.com/corp-en/content/docs/Future-of-Trade-2021.pdf
(11) James Zhan: “FDI의 미래: 2030년까지의 동인과 방향”, FDI Intelligence, 2020년 12월 23일, https://www.fdiintelligence.com/content/opinion/the-future-of-fdi-drivers-and-directions-to-2030-79112
(12) 예를 들어, 2023년 4월 19일, 유럽 의회(EP)는 삼림 벌채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상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새로운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13) 참조: “더 나은 데이터로 투자 결정을 혁신하세요”, 세계 경제, 2023, https://www.worldeconomics.com/World%20Markets%20of%20Tomorrow/Year-2030.aspx
(14) 제13차 전국대의원대회 문서, 출판사. 국가정치진실, 하노이, 2021, 제1권 이. 피. 33
(15) “러시아 제재 대시보드,” Castellum.AI, 2024년 4월 22일, https://www.castellum.ai/russia-sanctions-dashboard
(16) 정리: “바이든의 중국 전략: 연합 주도 경쟁인가, 냉전식 대결인가?” (대략 번역: 바이든의 중국 전략: 동맹 주도 경쟁 또는 냉전식 대결), Tlđd
(17) 메이건 바스케스: “러시아, 바이든과 수많은 미국 관리 및 정치인에 대한 제재 발령”, CNN, 2022년 3월 15일, https://edition.cnn.com/2022/03/15/politics/biden-us-officials-russia-sanctions/index.html
(18) 화샤: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 보고 전문”, 신화통신, 2022년 10월 25일, https://english.news.cn/20221025/8eb6f5239f984f01a2bc45b5b5db0c51/c.html


원천

댓글 (0)

No data
No data

같은 태그

같은 카테고리

푸루옹의 어린벼 계절의 푸른빛에 반해보세요
사크 숲의 녹색 미로
판티엣의 많은 해변은 연으로 뒤덮여 있어 관광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줍니다.
러시아 군사 퍼레이드: 시청자들을 놀라게 한 '완전히 영화 같은' 각도

같은 저자

유산

수치

사업

No videos available

소식

정치 체제

현지의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