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퍼 룩슨 총리는 뉴질랜드 고위 기업인 대표단과 함께 하노이 와 호치민시를 방문할 예정이다.
크리스토퍼 룩슨 총리는 베트남을 방문하기 전, 두 나라 간의 관계에 대해 공유했습니다.
크리스토퍼 룩슨 총리는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떠오르는 신흥 국가이자, 이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국가 중 하나입니다. 올해 양국은 수교 50주년을 맞이합니다. 저의 방문은 양국 관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양국 무역을 강화하며, 기업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열어줄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뉴질랜드 총리는 지난 5년간 양국 간 무역이 40%나 성장했지만, 여전히 많은 여지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2026년까지 양국 간 무역액 30억 달러를 달성하기 위해 베트남 지도자들과 협력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크리스토퍼 룩슨 뉴질랜드 총리는 2024년 3월 뉴질랜드를 방문한 팜 민 친 총리를 위한 환영식을 주최했습니다. 사진: 낫 박
뉴질랜드 대통령은 20년 이상 연 5%가 넘는 경제 성장률과 1억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베트남은 뉴질랜드에 큰 기회를 제공하는 시장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특히 교육과 고품질 음식 및 음료 제공 분야에서 큰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팜 민 찐 총리와 뉴질랜드 총리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협력 및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회담을 가질 예정입니다. 크리스토퍼 룩슨 총리도 ASEAN 미래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 크리스토퍼 룩슨 장관의 하노이 연설은 뉴질랜드가 ASEAN과 수교 50주년을 기념하는 맥락에서 이루어졌습니다.
크리스토퍼 룩슨 총리는 "뉴질랜드의 미래 안보와 번영은 아세안(ASEAN)과 회원국들의 성공에 긴밀히 연계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아세안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관계를 심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베트남-뉴질랜드 관계에 관해서, 뉴질랜드는 항상 베트남과의 관계에 중요성을 두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베트남을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대한 정책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간주합니다. 두 나라는 1975년 6월 19일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습니다.
2025년 2월 현재 베트남은 뉴질랜드의 12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이며, 이 중 베트남은 뉴질랜드 시장에 대한 12번째로 큰 수출국이고, 뉴질랜드에 대한 18번째로 큰 수입국입니다.
뉴질랜드는 베트남의 41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입니다(수출은 41위, 수입은 37위). 양방향 무역 거래량은 수년에 걸쳐 꾸준히 증가해 왔습니다.
뉴질랜드는 베트남에 매년 증가하는 안정적인 ODA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교육 협력은 주요 협력 분야 중 하나입니다.
안보와 방위 분야에서 뉴질랜드는 베트남이 테러 대응, 범죄 및 수사 기술, 자금 세탁 및 첨단 범죄 예방 등에 대한 훈련 과정을 조직하는 것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농업은 양국 관계에서 중요하고 잠재력이 있는 협력 분야입니다. 베트남은 뉴질랜드산 상업용 감자, 냉동 쇠고기, 키위, 사과, 호박, 딸기에 대한 시장을 개방했습니다.
뉴질랜드는 베트남산 망고, 드래곤프루트, 람부탄, 레몬, 자몽에 대한 라이선스를 취득했습니다. 뉴질랜드는 꿀, 배, 사슴고기, 사슴고기에 대한 시장을 개방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베트남은 롱안, 리치, 절화 시장을 개방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ASEAN 미래 포럼 2025는 2월 25일부터 26일까지 하노이에서 "불안한 세상에서 단결되고 포용적이며 회복력 있는 ASEAN 구축"이라는 주제로 개최되었습니다. 포럼에는 1개의 고위급 세션, 5개의 전체 회의 세션, 1개의 만찬, 1개의 실무 점심 세션 및 기타 활동을 포함하여 총 12개의 활동이 있습니다.
말레이시아 총리, 동티모르 대통령, 뉴질랜드 총리 등 3명의 국가 고위 지도자가 참석을 확정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포럼에는 약 10명의 부총리, 장관 또는 이에 상응하는 직책, 그리고 ASEAN 사무총장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Vietnamnet.vn
출처: https://vietnamnet.vn/thu-tuong-new-zealand-tham-viet-nam-du-dien-dan-asean-tai-ha-noi-2373508.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