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영어 교육 기업 Education First(EF)가 발표한 '영어능력지수(EPI)' 순위에서 2023년 한국은 49위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의 영어 능력 순위는 수년에 걸쳐 변동해 왔으며, 2020년에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전반적으로 한국의 영어 능력은 지난 10년 동안 향상되었는데, 이는 한국이 국민의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입니다.
의무 영어 교육
한국에서는 정부에서 영어 능력을 개인과 국가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로 적극 홍보해 왔습니다.
이 나라에서는 영어를 초등학교 3학년부터 필수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유치원에서 부모들이 자녀가 일찍 외국어에 노출되기를 원할 때 영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영어가 필수과목입니다. 커리큘럼은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의 4가지 주요 언어 기술을 포괄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공립학교에서는 주로 독해 능력과 문법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러한 섹션은 대학 학업 적성 시험(CSAT)과 같은 표준화된 시험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고등교육 및 취업 부문에서는 영어 능력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됩니다. TOEIC(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및 TOEFL(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과 같은 시험은 영어 능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로 널리 사용됩니다. 이러한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은 대학 입학, 취업, 승진 기회에 종종 요구됩니다.
오늘날 한국의 젊은 세대는 TOEIC 점수 900점 이상이 아니면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이로 인해 영어 능력의 성공이 의사소통 능력이 아닌 시험 결과로 평가되는 시험 점수 문화가 생겨났습니다.
정부가 공립학교의 영어 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한국 학생들은 여전히 학원이라 불리는 사립 방과 후 학원에 다니며 추가 영어 과외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아카데미는 더욱 집중적이고 개인화된 영어 교육을 제공하며 시험 점수 향상에 중점을 둡니다.
The Diplomat 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연간 170억 달러를 지출하고 3만 명의 원어민 영어 교사를 고용하여 부모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부유한 가정은 자녀를 영어권 국가의 학교에 보냅니다.
논란이 되는 채용 정책
한국의 영어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이니셔티브 중 하나는 영어 원어민 교사를 채용하는 것입니다. 한국영어교육프로그램(EPIK)과 같은 프로그램의 목적은 영어 원어민을 공립학교에 유치하는 것입니다. 이는 학생들의 말하기와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이 능력은 전통적인 교실 환경에서는 종종 충분히 개발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나라는 가르치는 능력보다는 국적을 기준으로 누가 가르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두고 있습니다.
개발도상국의 교사들은 영어 능력이나 자격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EPIK이나 TaLK(Teaching and Learning in Korea) 프로그램과 같은 명문 프로그램에서 가르칠 수 없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영어가 주로 단일 언어 환경에서 사용되는 선진국 그룹인 호주, 뉴질랜드, 영국, 아일랜드, 남아프리카, 미국, 캐나다의 시민만 허용합니다.
EPIK 프로그램의 교사들은 원하는 기간 동안 계약을 갱신하도록 권장되는 반면, 다른 교육 프로그램은 더 제한적입니다.
예를 들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A)에 따라 인도 교사는 한국에 1년 동안만 체류할 수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7개국의 교사보다 적은 급여를 받습니다. 한국의 중국어 교육 프로그램(CPIK)에 참여하는 교사들도 비슷한 제한을 받으며, 최대 2년 동안만 체류할 수 있습니다.
필리핀, 인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다른 영어권 영연방 국가의 교사는 그들의 영어가 "비공식적"이라고 간주되어 공립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칠 수 없습니다.
사립학교가 특정 국적을 요구하지 않고도 교사를 고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적 허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학교의 대부분은 여전히 7개국 출신의 지원자를 우선시하는 유사한 모델을 따릅니다.
국적에 대한 한국의 다소 제한적인 관점은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교사가 교실에서 상당한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는 연구 결과와 상충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교사는 문법, 의미적 뉘앙스, 문화적 맥락을 포함한 언어의 복잡성에 더 민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많은 한국인들은 두 언어를 구사하면 두 언어를 모두 능숙하게 구사하는 능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많은 한국인 부모가 자녀를 유학 보내는 동안 자녀가 다른 한국인 친구들과 거의 또는 전혀 교류하지 않도록 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통계에 따르면, 어머니는 자식을 따라 외국으로 떠나고, 아버지는 돈을 벌기 위해 남는 한국 가정이 50만 가구가 넘습니다.
정부와 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영어 능력은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 교육 전문가들은 영어 학습에 있어서 영어 점수에만 너무 집중하면 영어 능력 향상이 더뎌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한 전문가는 코리아 타임스에 "사람들은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보다는 시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영어를 배우고 있습니다. 이것이 높은 학비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주된 이유입니다."라고 평했습니다.
[광고_2]
출처: https://vietnamnet.vn/quoc-gia-tung-thue-30-000-giao-vien-anh-ngu-ban-dia-ve-day-gio-ra-sao-2322676.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