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자 피터 히그스가 수년간 명예교수로 재직했던 에든버러 대학은 그가 짧은 투병 생활을 마치고 4월 8일 집에서 평화롭게 세상을 떠났다고 확인했습니다.
대학 총장인 피터 매디슨 경은 "피터 히그스는 뛰어난 인물이었으며, 참으로 재능 있는 과학자 였으며, 그의 비전과 상상력으로 우리 주변 세계에 대한 지식을 풍부하게 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매티슨 교수는 "그의 선구적인 연구는 수천 명의 과학자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그의 유산은 앞으로도 여러 세대에 영감을 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히그스는 학교 물리 실험에서는 "무능하다"고 자신을 표현했고, 처음에는 수학과 화학을 더 선호했다고 인정했습니다. 하지만 같은 학교에 다녔던 양자 물리학자 폴 디랙의 영향을 받아 이론 물리학으로 전향했습니다.
물리학자 피터 히그스는 에든버러 대학의 명예교수입니다. 사진: AP
그는 1964년에 처음으로 히그스 입자(또는 히그스 보손, 종종 "신의 입자"라고 불림)의 존재를 예측하고 제안했습니다. 그는 우주에 있는 다른 입자와 모든 별이 질량을 갖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특정 크기의 아원자 입자가 있어야 한다는 이론을 세웠습니다.
한 교수는 1964년에 히그스 보손의 질량이 없다면 입자들이 우리가 매일 상호작용하는 물질로 합쳐질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이 입자와 같은 것이 없다면 물리학자들이 세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하는 "표준 모형"으로 알려진 법칙 집합이 유지될 수 없습니다.
히그스 보손의 존재가 증명된다면 표준 모형의 기본적인 이론적 틀이 설명될 수 있고, 과학자들이 우주의 가장 근본적인 미스터리 중 하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즉, 빅뱅이 138억 년 전에 무에서 유를 창조했다는 것입니다.
거의 30년 동안, 유럽 원자핵 연구 기구(CERN)와 시카고 페르미 연구소의 물리학자들은 히그스 보손의 존재를 검출하고자 입자들을 충돌시켜 빅뱅을 재현해 왔습니다.
마침내 2012년에 CERN의 과학자들은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를 사용하여 히그스 보손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것은 주로 히그스 보손을 찾기 위해 설계된 대형 입자 가속기입니다. 이것은 빅뱅 이후 1조분의 1초 동안 존재했던 조건 중 일부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극도로 높은 에너지의 충돌을 생성합니다.
이 연구는 보손이 우주를 유지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그리고 우주에 연결된 다른 모든 원자의 존재에 필수적인 기본 입자에 질량을 부여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고인이 된 물리학자 피터 히그스가 2013년 11월 과학 박물관의 "Collider" 전시회에서 LHC 사진 앞에 서 있습니다. 사진: GI
히그스는 CERN의 가득 찬 강당에 참석하여 이 발견 에 대한 발표를 들었고, 벨기에 물리학자 프랑수아 엥글레르도 그와 함께 있었는데, 프랑수아 엥글레르는 이미 비슷한 이론을 제안한 적이 있었습니다.
CERN 사무총장인 롤프 호이어는 "우리는 자연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중요한 이정표에 도달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 순간, 물리학자의 눈에는 눈물이 고였고, 그는 감정에 북받쳐 동료 연구자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제가 살아 있는 동안 이런 일이 일어났다는 게 믿겨지지 않습니다."
히그스와 엥글러트는 둘 다 그들의 연구로 201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습니다.
히그스 보손은 표준모형을 완성하지만, 이를 완전히 이해하려면 훨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히그스 보손의 발견으로 과학자들은 우주의 대부분을 설명하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는 부분과 평행 우주와 같은 개념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피터스 히그스는 1929년 5월 29일 영국 북동부 뉴캐슬에서 태어났으며,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공부하고 1954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는 대부분의 경력을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보냈고, 1980년에는 스코틀랜드 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과 학과장이 되었습니다. 그는 1996년에 은퇴했습니다.
브리스톨 대학교 물리학과의 생화학자 조엘 골드스타인은 "피터 히그스는 조용하고 겸손한 사람이었으며, 그의 연구가 입자 물리학의 현대 이론적 틀 전체를 뒷받침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명성에 편안함을 느끼지 못하는 듯했다"고 말했습니다.
Hoai Phuong (CNN, AP, DW에 따르면)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