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트리가 마이쩌우( 호아빈 )에서 70km 장거리 경주를 성공적으로 정복한 운동선수로 소개한 트란 토 안 박사는 항상 건강하고 긍정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는 사람입니다.
50대 여성이 이룬 놀라운 성취는 '기적'에 의한 것이 아니라, 과학적 으로 설계되고 개인화된 계획과 커리큘럼을 면밀히 따르며 꾸준히 훈련한 결과입니다.
6km의 "소개" 거리에서 21km, 42km, 70km를 거쳐 이제는 은퇴한 60대 주자가 올해 11월 라오까이 사파에서 열리는 베트남 산악 마라톤에서 100km를 정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오전 3시, 어둡고 조용한 마이차우 마을에서 헤드램프의 불빛이 번쩍이며 긴 줄기를 이루며 이어졌습니다.
"고양이 귀 바위 조심하세요." 선두 그룹의 경고가 금세 그룹 전체로 퍼졌습니다.
몇 킬로미터의 "평화로운" 출발을 한 후, 주자들의 활기찬 발걸음은 첫 번째 장애물 앞에서 멈췄습니다.
하노이 출신의 57세 주자, 트란 토 안은 앞에 있는 사람의 빛을 관찰하여 마음속으로 방향을 파악한 뒤, 각 걸음을 내딛을 안전한 장소를 찾는 데 집중했습니다.
깜깜한 어둠 속에서, 헤드램프의 빛으로만 몇 미터밖에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 여자는 지형이 가파르고 바위가 많을 것이라고만 상상할 수 있었습니다.
두 번 오르막길을 지나 다시 내리막길을 지나, 그녀는 처음 10km를 달렸는데, 그것도 새벽이었기에 이 주자는 주변 지형, 즉 굽이치는 푸른 산맥을 뚜렷이 볼 수 있었습니다.
CP1 근처는 지형이 평평했고 바위도 더 이상 없었습니다. 많은 주자들이 이 기회를 이용해 속도를 높이고 성과를 향상시켰으며, 이전에 느려졌던 거리를 만회했습니다.
하지만 60대 여성에게 '평평한 길'은 방금 극복한 산보다 더 어려운 도전이었습니다.
"달리기 트랙은 운동장을 가로지르는 작은 콘크리트 가장자리에 불과해요. 발이 겨우 들어갈 만큼만 간신히 닿을 정도고 미끄러워요. 중년층에게 흔한 질환인 전정기능 장애 때문에 마치 줄타기하는 줄 위에서 균형을 잡는 것 같아요. " 라고 그녀는 말하며, 길을 따라 달리다 어지러움을 느껴 도랑에 빠질 뻔한 적도 여러 번 있었다고 덧붙였다.
균형 잡기 도전은 어려웠지만 그렇게 오래 걸리지는 않았고, 주자들은 금세 컨디션을 되찾아 다음 20km를 "달리는 것만큼이나 쉽게" 정복했으며, COT(제한 시간)가 2.5시간 이상 남았습니다.
오전 9시, 솜판(CP3) 계곡에서 앞을 바라보니, 해가 높이 떠서 가파른 황금빛 산비탈만 보였습니다. 그 광경을 본 순간 중년 여성의 자신감은 즉시 사라졌다.
"이 거리는 당신의 나이에 비해 너무 멀어요." 주자는 갑자기 지인의 조언을 떠올렸다.
한 달 전, 그녀는 다소 즉흥적인 이유로 이 레이스에 등록하기로 결정했습니다. 60세가 되기 전에 70km 트레일 달리기를 "졸업"하기 위해서였습니다.
토 안 박사는 경주를 준비하기 위해 "선배"들의 조언, 조직 위원회에서 얻은 정보, 그리고 이전 트레일 달리기에서 얻은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모든 에너지와 정신을 쏟았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땅에서 솟아오른 뾰족한 바위 층은 숙련된 주자의 의지를 쉽게 꺾을 만큼 날카롭습니다.
태양은 점점 더 높이 떠올랐고, 운동선수의 몸은 샤워기처럼 쏟아지는 땀방울로 인해 계속해서 수분과 소금을 잃어가면서 난이도는 두 배로 높아졌습니다.
정오 무렵, 더위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그녀의 몸은 "적색 경보" 신호를 보내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어지러움을 느끼기 시작했어요"라고 회상했습니다. "하지만 시계를 보니 심박수가 분당 120회에 불과했어요. 그래도 괜찮았어요."
열충격! 선수는 자신의 몸 상태를 빠르게 진단하고 즉시 전략을 조정했습니다.
"목표를 낮추고, 한 걸음씩 천천히 걸으며 몇 걸음마다 전해질 물을 한 모금씩 마셨어요. 몇 걸음마다 휴식을 취하며 기력을 회복했죠." 60대 의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해발 100m의 산기슭에서 시작해 해발 1,068m의 CP4에 있는 구름 사냥 지점까지 이어지는 10km 여정을 여의사는 불타는 마이쩌우 판 한가운데서 "머무를 곳이 없는" 여정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거의 수직에 가까운 산비탈 한가운데, 길 양쪽에는 피로, 부상 또는 다리 경련으로 인해 달리기를 멈춘 주자들이 흩어져 있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이 경기장은 가장 많은 선수가 중도 탈락하는 경기장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CP4의 최고 기온은 섭씨 40도였습니다. 앞으로 긴 도로가 펼쳐져 있었고, 그 길은 벌거벗은 언덕들로 이어졌습니다. 1제곱미터가 조금 넘는 작은 나무들이 많은 주자들에게 '오아시스'가 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날씨가 가장 혹독하고 체력이 바닥을 치는 시기라 그늘을 찾는 게 운동선수들의 새로운 과제가 됩니다.
"나무를 볼 때마다 숨어서 쉬었어요. 두 번은 힘을 되찾으려고 몇 분씩 낮잠을 잤죠. 하지만 계속 걸으면 계속 걸을 수 있었어요. 어린아이들이 저를 보고 놀라더라고요."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그렇게 그녀는 점차 두 개의 가장 어려운 CP인 "클라우드 헌팅 포인트"와 "항키아"를 극복했는데, 두 CP 모두 고도 1,000m가 넘습니다.
여성 운동선수들은 근육 피로를 피하기 위해 휴게소에서 오랫동안 쉬지 않는다. 이 시간 동안 그녀는 죽과 바나나를 먹고, 다음 CP로 계속 가기 위해 충분한 물을 준비할 기회를 가졌습니다.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뜨거운 햇볕을 견뎌내며 반나절 동안 산을 오르고 나니, 매 걸음, 매 호흡이 힘들어졌습니다.
정상이 가까워지더라도 엄격한 규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속도가 조금만 바뀌어도 순식간에 몸이 한계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자는 강조했다.
오후 늦게, 태양과 토안은 둘 다 산 아래로 내려갔고, 어둠이 긴 길을 덮기 시작했으며 여전히 앞에는 어려움이 남아 있었습니다.
마지막 CP는 여전히 나무와 바위가 울창한 숲 속의 험난한 지형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내리막 구간에서 운동선수는 "내리막길"(내리막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형이 험난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밤에도 계속해서 "길을 수색"하여 마지막 산길에 도달했습니다.
"저기 있어요." 여의사의 우연히 함께 달리던 동료가 소리쳤다. 약 500m 떨어진 곳에서 녹색 문이 환호성과 함께 점차 나타났다.
"해냈어요." U60 선수는 마치 불타오르는 듯이 기뻐했습니다. 20시간 동안 트레일 러닝을 해서 납처럼 무거웠던 다리가 갑자기 구름 위를 걷는 것처럼 가벼워졌습니다.
오후 11시 21분, 중년 여성이 고개를 높이 들고 얼굴은 빛나며 결승선을 통과하는 것을 보고 자원봉사자들은 환호성을 질렀습니다.
"정말 아름답게 결승선에 도착했어요." 토 안은 57번째 생일을 맞아 일찍 받은 자기 보상 선물을 흥분한 듯 보여주었다.
조직위원회 시스템에 따르면, Tran To Anh이라는 이름은 U60 연령대에서 상위 5위에 올랐으며, 70km 트레일 거리를 정복한 U60 그룹에서 가장 나이 많은 사람이었습니다(실제 거리는 73km보다 길었습니다).
사실, 이 여성 의사는 은퇴 후 우연히 마라톤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코로나19 때문에 집에 있는 게 너무 지루해졌어요."
"초보자" 거리인 6km에서 21km, 42km를 거쳐 현재는 "베테랑" 주자가 70km를 정복했습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그녀는 "신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숫자입니다.
천리 길도 언제나 한 걸음부터 시작하듯, 토안 박사님도 그렇습니다.
"항상 몸의 말을 잘 듣고, 즐기되 한계를 넘지 마세요." 토 안 박사는 노인이 이 혹독한 스포츠에 참여할 때 특히 중요한 원칙을 공유합니다.
의사인 토 안 씨는 자신의 몸에 무엇이 필요한지 잘 알고 있습니다. 이 주자는 건강 모니터에 표시된 신체 지수와 자신의 감정에 따라 적절한 훈련 조정을 합니다.
"나이가 들어서 심박수와 혈압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게 됐어요. 건강 한계를 넘어서는 건 아무것도 할 수 없거든요."
"스포츠에 대한 열정을 다하고 있지만 건강이 더 중요해요." 이 여성 운동선수는 자신이 합리적인 사람이라고 말하며(일부는 직업의 특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달리기를 할 때는 감정과 흥분을 조절하기가 매우 쉽다고 덧붙였다.
여의사는 경기에 참가할 때 항상 자신의 에너지 일부를 "비축"해두는데, 이를 통해 항상 안전 지대에 있을 수 있다고 그녀는 말한다.
이 여성은 마이쩌우에서의 경쟁을 예로 들었다. "마지막 몇 킬로미터 동안 기량 향상을 위해 달릴 에너지는 충분했지만, 걷기로 했습니다. 경기는 최선을 다하는 것이지만, 지칠 때까지는 안 됩니다."
U60 의사는 장거리 경기에서 인상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신체적 기반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발에 미친' 세상에 합류하기 전에는 오랫동안 헬스장에서 운동해 왔기 때문에 운이 좋았어요. 미리 쌓아 놓은 체력 덕분에 마라톤에 빨리 나갈 수 있었죠."라고 그녀는 말했다.
그녀가 더 높은 성취에 도전할수록, 이 스포츠에 얼마나 많은 체력이 필요한지 더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전투 중에 자신의 힘을 알고 준비하는 데 신중한 57세의 의사는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조깅의 "황금 공식"을 강조합니다.
"축구를 하면 다리가 축 처지고, 육상을 하면 볼이 움푹 꺼진다. 이건 재밌는 말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겪는 문제이기도 하다. 나에게 스포츠란 더 많이 뛸수록 더 강해지는 것이지, 성취를 위해 '너무 애쓰는' 것이 아니라 건강을 희생하는 것이어야 한다." 토 안은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
그녀는 새로운 목표를 세웠습니다. 이번 11월에 열리는 사파 트레일 레이스에서 100km를 정복하는 것입니다. 그녀의 주간 훈련은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즉, 매주 100km를 달리고 4,000m를 오르는 것입니다.
"저는 운동하고 싶어요. 제 자신을 몇 번이고 더 정복하고 싶어요." 여의사는 자신을 다시 한번 발견하고 싶은 열망에 대해 흥분해서 말했습니다. 그녀에게 인체는 정말 놀랍기 때문입니다!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이 지나고, 달리기에 대한 열정이 토아인과 VKL 러너스 클럽(롱비엔 달리기 애호가들의 클럽)이 서로를 찾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가장 나이 많은 여성 회원인 "베테랑" 주자는 클럽의 모든 구성원으로부터 애정을 담아 "어머니 자매"라고 불린다.
"저는 현대적인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젊은이들, 항상 밝고 건강한 사람들을 존경합니다. 그들과 함께 경주에 참여하거나 훈련할 때마다 몇 년은 더 젊어진 기분이 들어요." 그녀는 자신보다 수십 년 어린 팀 동료들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토 안 여사가 설명한 대로, 달리는 발걸음은 세대를 연결하는 끈입니다.
안의 큰아들은 불행히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앓고 있습니다. 그녀는 의사로서 자녀와 함께 있는 것의 중요성을 더욱 잘 이해합니다.
달리는 걸음은 엄마와 아이가 서로의 세계에 더욱 가까워지도록 해줍니다. 이제 아들은 어머니와 함께 달리기 경주에 참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여성의 회복력과 인내는 아마도 어머니의 인내와 사랑에서 비롯되었을 것입니다. 토 안은 자기 아이가 건강하고 강하게 자라는 모습을 보고 감동을 받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토 안의 휴대폰 배경화면에 저장된 어머니와 딸이 하이퐁에서 하프 마라톤(21km)을 완주하는 모습의 사진에서 U60과 GenZ 여성의 악수가 담긴 모습이 담긴 사진이 그녀에게는 가장 자랑스러운 메달입니다.
단트리닷컴(Dantri.com.vn)
출처: https://dantri.com.vn/suc-khoe/nu-bac-si-tro-thanh-ultra-marathon-o-do-tuoi-u60-va-2-bi-quyet-tao-ky-tich-20241019154225286.htm
댓글 (0)